네크로필라 포르모사. 푸른색 등의 이 딱정벌레는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열대림에 서식한다. 썩은 고기 안에서 구더기를 잡아먹으며 산다. 금속처럼 번들거리는 초록색 옷을 입은 람프리마색사슴벌레는 뉴기니와 인도네시아에서만 서식하는 딱정벌레다. 큰 턱에 여러 개의 이빨이 있고, 사이사이 노란색 강모가 촘촘하다.
‘세상의 모든 딱정벌레’는 이런 벌레 600종을 수록한 ‘딱정벌레 백과사전’이다. “600종이라니, 딱정벌레가 그렇게 많아?”라며 놀라지는 마시길. 전 세계 딱정벌레는 현재 약 40만종으로, 생태계 동물의 무려 4분의1 이상을 차지한다.
책은 과학자이자 국립 캐나다 곤충·거미·선충류 수집협회에서 딱정벌레목 담당 큐레이터로 일하는 패트리스 부샤르가 중요도를 따져 선별한 벌레들을 수록했다. 개별 종에 관한 컬러 사진과 설명은 물론 개체군 분포 지도, 비슷한 종 목록뿐만 아니라 분류학적인 희귀성과 벌레의 특이 행동도 함께 수록했다. 실제 딱정벌레의 크기를 함께 실어 크기를 가늠할 수 있게 했다.
책장을 넘기다 보면 딱정벌레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오죽했으면 영국 유전학자 홀데인이 “딱정벌레에 대한 신의 과도한 사랑에서 우리는 신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고 했을까.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3-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