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죽음과 지구적 죽음 사이… “비탄의 연대 필요”

어머니 죽음과 지구적 죽음 사이… “비탄의 연대 필요”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4-28 17:48
수정 2022-04-29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열네 번째 시집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펴낸 김혜순 시인

“내가 엄마 다시 낳아야 고통 끝나”
모친 사별의 비탄, 세계적 해석
코로나·우크라 전쟁 등과 연계

‘시인들의 시인’이자 ‘시 하는’ 시인으로 이름 높은 김혜순 시인이 28일 서울 마포구 문학과지성사 아카이브에서 신간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를 소개하고 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시인들의 시인’이자 ‘시 하는’ 시인으로 이름 높은 김혜순 시인이 28일 서울 마포구 문학과지성사 아카이브에서 신간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를 소개하고 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시는 ‘비유나 상징의 영역’이 아니라 ‘이행의 영역’이자 ‘판단의 영역’이라고 생각해요. 시는 ‘어떤 것을 하는 상태’이자 일종의 ‘다른 것 되기’라고 할 수 있지요.”

‘시를 쓴다’는 말보다 ‘시를 한다’는 말이 꼭 맞는 김혜순(67) 시인이 돌아왔다. 전작 ‘죽음의 자서전’(2016), ‘날개 환상통’(2019)에 이어 죽음 3부작이라고 할 수 있는 시집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사진)를 들고서다. 시인의 작품 속 화자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고백하고 싸운다.

‘또 다른 별에서’(1981)부터 이번 시집까지 40여년간 모두 14권의 시집을 내면서 ‘시인들의 시인’, ‘몸 전체로 시를 하는 시인’으로 각인된 그를 28일 서울 마포구 문학과지성사 아카이브에서 만났다.

아시아 여성으로는 최초로 2019년 그리핀 시문학상을 받는 등 김 시인은 지난 10년간 해외 주요 문학상을 가장 많이 받은 시인이자 번역된 작품이 세계 곳곳에서 읽히는 시인이다. 이광호(문학평론가) 문학과지성사 대표이사는 “김혜순 시인의 시를 읽는 것은 이제 세계 독자들과 함께 읽는다는 것과 같다”며 “한국 문학의 동시대성을 획득한 작가”라고 그를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에서 시인이 집중한 것은 전 지구적인 문제인 죽음이다. 특히 시인은 어머니의 부재를 통해 모래처럼 부서진 생명의 조각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실제로 시집 속 시는 대부분 시인의 모친이 세상을 뜬 2019년에 쓰였다.

‘결국 엄마는 나를 두 번 배신했다/ 첫 번째는 세상에 죽음을 낳아서/ 두 번째는 세상에 죽음을 두고 가버려서 (중략)/ 이윽고 나도 엄마를 두 번 배신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엄마 조심히 가 하고 죽은 엄마를 낳아서/ 두 번째는 나만 남아서’(‘엄마란 무엇인가’ 중에서)

시인은 엄마를 잃고 자신을 ‘끈 떨어진 연’이자 ‘생기를 잃은 생선 대가리’라고 말한다. “엄마가 돌아가시면서 (그 죽음이) 내 미래가 됐어요. 엄마가 나에게 삶을 준 줄 알았는데, 죽음도 줬다는 것을 알게 됐지요. 엄마가 이 과정을 걸어갈 때 산고(産苦)와 같은 고통을 겪는 모습, 즉 죽음을 낳는 과정을 보면서 ‘내가 엄마를 다시 낳아 줘야 이 고통이 끝나겠구나’ 생각했죠.”

그의 시가 특별한 것은 어머니의 죽음을 맴돌며 적어 내려간 비탄이 개인에 머물지 않는다는 점이다. 시인은 개인적인 죽음과 비탄을 전 지구적인 죽음으로 끌고 간다.

‘외출을 할 땐 얼굴의 구멍을 다 막아라/ 새 칙령이 공표된 지 2년이 지났다/ 얼굴도 이제 벌거벗을 수 없다// 통조림 안에 갇힌 것과 같은 나날/ 세탁기 안에는 세탁되고 있는 눈알이 들어 있다/ 슬픈 영화의 가장 슬픈 장면에서/ 울고 있는 관객들을 촬영한 것 같은 스물세 개의 화면/ 나는 이 수업 화면이 코인 세탁방 같다’(‘셧다운’ 중에서)

시인은 코로나1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얀마 군부 쿠데타 등에서 기인한 세상의 죽음을, 그 낱낱의 죽음에 숨겨진 비탄 하나하나를 바라본다.

그는 “병(코로나19) 하나가 지구 전체와 연결돼 있고 전쟁의 파도가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을 보면서 그냥 두면 큰일난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번 시집을 쓸 때 비탄의 연대랄까, 불행이라는 것의 전체적인 번짐을 많이 생각했다. 기도하는 것보다 비탄 자체를 노래하는 것이 시인의 역할”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2022-04-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