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치고 싶은 문장]

[훔치고 싶은 문장]

입력 2025-05-22 23:34
수정 2025-05-22 2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초선의원(오세혁 지음, 걷는사람)

“(수호) 뭐 별거 있나…. 학생도 잘살고 노동자도 잘살고 농민도 잘살고 여성도 남성도 노인도 어린이도 다 잘살고…. 억울한 죽음은 절대로 없는…. (명제) …사람 사는 세상이네요.”

요즘 연극계에서 가장 바쁜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오세혁의 희곡집이다. 201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으로 등단했다. 표제작 ‘초선의원’을 비롯해 ‘세자전’, ‘전시의 공무원’, ‘단명소녀 투쟁기’, 최근 선보인 ‘킬링 시저’까지 다섯 편의 희곡을 한 권에 묶었다. 현대극과 음악극, 청소년극 등 다양한 무대 양식을 오가며 시대를 넘어 공통적으로 ‘정치와 인간’이라는 테마를 탐구한다. 312쪽, 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빛들의 환대(전석순 지음, 나무옆의자)

“아주 연약한 빛이었지만 어둠 사이에서는 제법 선명하게 도드라졌다. 그림자가 비로소 길게 누웠다. 햇빛은 점점 자리를 넓혀 갔다. 마치 뚜껑이 열린 관 속처럼.”

‘철수 사용 설명서’로 오늘의 작가상을 받았던 소설가 전석순의 신작 장편소설. 제2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다. 심사위원단은 “일장춘몽을 기획했으나 악몽이 돼 버린 ‘죽음 체험관’은 피상적인 삶과 죽음에 ‘진짜’를 대입해 삶과 죽음을 다시 보게 만든다. 소설을 다 읽은 후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묵직한 질문이 남았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고 평했다. 삶에서 죽음을 경험하려던 시도가 어느 순간 죽음 속에서 삶을 찾아내야 하는 혼돈의 체험으로 변하며 소설은 흥미로운 서사의 트랙을 내달린다. 412쪽, 1만 7800원.

이미지 확대


허수의 정체(전수경 지음, 김규아 그림, 창비)

“허수의 퇴장은 등장만큼이나 남달랐다. 허수는 헤어져서 아쉽다, 그동안 고마웠다, 떠나는 사람들이 으레 하는 말 한마디 남기지 않았다. 마지막 순간까지 신나게 놀고, 내일 또 놀자며 헤어졌다.”

과학과 감성을 한데 아우르는 SF 동화를 선보여 온 작가가 한 신도시 아이들의 일상을 산뜻하고 경쾌한 문장으로 포착한다. 내면의 고민을 진솔하게 마주하는 가운데 수수께끼 같은 세상 속에서 자신만의 해답을 찾아 나가는 어린이들의 이야기다. 여덟 편의 단편 동화는 진심을 다해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는 어린이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160쪽, 1만 3800원.
2025-05-2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