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 사랑이 많고 지혜로운 사람이란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일 것입니다. 상대방의 말을 귀담아 듣고 맞장구를 쳐주는 것은 우리의 아름다운 의무 가운데 하나지요. 고운 말 차림표의 네 번째 메뉴는 ‘애덕을 가지고 상대방의 말에 맞장구를 쳐주자’입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쪽에서 한참 자신의 말을 하고 있는데 상대방이 건성으로 듣거나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는 모습을 보면 슬프고 서운한 생각이 드는 게 당연합니다. 또한 내가 무슨 말을 열심히 하는데도 상대방이 아무런 대꾸 없이 침묵으로만 일관하는 것도 맥이 빠지고 무안한 일이지요. 종종 저를 찾아오는 부산의 주부들은 무슨 말을 해도 남편이 하도 응대를 안 해주니 삶의 재미가 없다고 하소연하곤 합니다.
언젠가 한번은 제가 고 김수환 추기경님을 모시고 부산에 있는 가르멜 수녀원(지금은 밀양으로 옮김)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객실에 나와 있던 십여 명의 수녀가 하도 추기경님의 말씀을 정성스레 들으며 “오오!” “네에!” “어쩌면!” 등 그야말로 감탄과 사랑의 맞장구를 잘 치니 추기경님이 제게 이렇게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수녀들이 전심을 다해 듣는 태도가 정말 감동이네. 하도 맞장구를 잘 치니 그만 내가 의도하지 않았던 속 이야기까지 다 하게 되고…. 얼떨결에 다음 방문 약속까지 하고 말았지 뭐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