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군이 4년 만에 재발한 돈 선거 여파로 또다시 망신살이 뻗쳤다.
봉화경찰서는 올해 초 봉화군 모 농협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출마예정자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농업협동조합법 위반)로 봉화지역 주민 등 24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9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출마를 앞두고 있던 우모(64.구속)씨로부터 한 사람당 적게는 5만원,많게는 60만원씩 등 모두 7천만원이 넘는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문제의 농협 조합원 전체가 510명인 것을 고려하면 조합원 절반 가량이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셈이다.
돈 받은 사람 중에는 조합원 뿐 아니라 공무원과 농협직원,마을이장도 끼어 있어서 조합장 선거와 관련한 돈 살포가 무차별적으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봉화지역이 돈 선거에 휘말린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4년 전인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때 군수 당선자측에게서 돈을 받은 주민들이 무더기로 사법처리돼 지역 사회는 물론 전국적인 망신을 샀다.
당시 군수 당선자측으로부터 10만~20만원씩 돈을 받은 혐의로 주민 130여 명이 무더기로 기소돼 모두 30만~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받은 돈도 추징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 당시 봉화군 전체에 5천만원 가까운 ‘돈 폭탄’이 떨어졌다고 해서 유권자 의식 수준과 관련해 전국적으로 망신을 당했지만 이번 농협 조합장 돈 선거는 그 때보다도 액수도 많고 연루자도 더 많아 ‘기록 경신’이라는 조롱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돈을 받은 주민들은 “몇 번을 뿌리쳐도 돈을 쥐어주는 걸 어떡하느냐”라며 하소연하고 있다.
그만큼 연고에 얽힌 농촌지역이 돈 선거 유혹에 얼마나 약한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어떻게든 돈 선거의 악습은 뿌리를 뽑아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더 이상 돈 선거로 지역 이미지가 훼손되면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살아남기 어려울 거라는 위기의식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봉화에 사는 40대 주민 박모씨는 “지난 군수 선거 때야 순박한 농민들이어서 그렇다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또다시 이런 일이 생겼으니 뭐라고 할 말이 없다”라며 “어렵게 쌓아놓은 청정한 지역 이미지가 한 순간에 거품이 되지 않도록 모든 주민이 자정 결의를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봉화경찰서는 올해 초 봉화군 모 농협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출마예정자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농업협동조합법 위반)로 봉화지역 주민 등 24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9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출마를 앞두고 있던 우모(64.구속)씨로부터 한 사람당 적게는 5만원,많게는 60만원씩 등 모두 7천만원이 넘는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문제의 농협 조합원 전체가 510명인 것을 고려하면 조합원 절반 가량이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셈이다.
돈 받은 사람 중에는 조합원 뿐 아니라 공무원과 농협직원,마을이장도 끼어 있어서 조합장 선거와 관련한 돈 살포가 무차별적으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봉화지역이 돈 선거에 휘말린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4년 전인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때 군수 당선자측에게서 돈을 받은 주민들이 무더기로 사법처리돼 지역 사회는 물론 전국적인 망신을 샀다.
당시 군수 당선자측으로부터 10만~20만원씩 돈을 받은 혐의로 주민 130여 명이 무더기로 기소돼 모두 30만~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받은 돈도 추징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 당시 봉화군 전체에 5천만원 가까운 ‘돈 폭탄’이 떨어졌다고 해서 유권자 의식 수준과 관련해 전국적으로 망신을 당했지만 이번 농협 조합장 돈 선거는 그 때보다도 액수도 많고 연루자도 더 많아 ‘기록 경신’이라는 조롱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돈을 받은 주민들은 “몇 번을 뿌리쳐도 돈을 쥐어주는 걸 어떡하느냐”라며 하소연하고 있다.
그만큼 연고에 얽힌 농촌지역이 돈 선거 유혹에 얼마나 약한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어떻게든 돈 선거의 악습은 뿌리를 뽑아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더 이상 돈 선거로 지역 이미지가 훼손되면 부패없는 투명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에 살아남기 어려울 거라는 위기의식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봉화에 사는 40대 주민 박모씨는 “지난 군수 선거 때야 순박한 농민들이어서 그렇다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또다시 이런 일이 생겼으니 뭐라고 할 말이 없다”라며 “어렵게 쌓아놓은 청정한 지역 이미지가 한 순간에 거품이 되지 않도록 모든 주민이 자정 결의를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