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국내 쌀의 수급과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2010년산 쌀 8만6천t을 농가로부터 추가로 매입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추가 매입 물량은 올해 쌀 예상생산량 434만6천t에서 내년도 수요량 426만t을 제외한 것으로 최종 격리물량은 11월 중순께 실제 수확량이 발표되면 다소 달라질 수 있다.
<표> 연도별 쌀 생산량 추이
농식품부는 “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이번에 추가로 매입하는 8만6천t은 공공비축미와 같은 방식으로 사들이며,매입 시기도 10월25일부터 시작되는 공공비축 건조벼 매입과 동시에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에 따라 사후정산하되 벼 40kg당 4만5천원을 우선 지급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올해 쌀값이 조기에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통상적으로 수확기에는 쌀값이 하락하지만 올해에는 농협 등 민간이 보유한 2009년산 잉여물량(2만6천500t)과 신곡 수요량 초과물량(8만6천t)까지 정부가 신속히 매입함에 따라 시장상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5일 기준 산지 쌀값은 12만8천408원에서 13만8천352원으로 9천944원(7.7%)가량 상승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농식품부는 “쌀값이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 격리 물량은 가격 급등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밥쌀 용으로 시장에 방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일 현재 2010년산 쌀 매입진척도를 보면 매입물량은 12만2천t(공공비축미곡 1천t,민간매입 12만1천t)으로 작년 동기(12만6천t)의 96.8% 수준이지만 올해 수확이 예년보다 5∼7일 정도 늦어진 점을 감안하면 ‘정상적 수준’이라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연합뉴스
추가 매입 물량은 올해 쌀 예상생산량 434만6천t에서 내년도 수요량 426만t을 제외한 것으로 최종 격리물량은 11월 중순께 실제 수확량이 발표되면 다소 달라질 수 있다.
<표> 연도별 쌀 생산량 추이
재배면적 | 10a당 생산량 | 총 생산량 | |||
원자료 (ha) | 전년대비 (%) | 원자료 (kg) | 전년대비 (%) | 원자료 (천t) | 전년대비 (%) |
’94 | 1,102,608 | △2.9 | 459 | 9.8 | 5,060 | 6.5 |
’95 | 1,055,868 | △4.2 | 445 | △3.1 | 4,695 | △7.2 |
’96 | 1,049,556 | △0.6 | 507 | 13.9 | 5,323 | 13.4 |
’97 | 1,052,395 | 0.3 | 518 | 2.2 | 5,450 | 2.4 |
’98 | 1,058,927 | 0.6 | 482 | △6.9 | 5,097 | △6.5 |
’99 | 1,066,203 | 0.7 | 495 | 2.7 | 5,263 | 3.3 |
’00 | 1,072,363 | 0.6 | 497 | 0.4 | 5,291 | 0.5 |
’01 | 1,083,125 | 1.0 | 516 | 3.8 | 5,515 | 4.2 |
’02 | 1,053,186 | △2.8 | 471 | △8.7 | 4,927 | △10.7 |
’03 | 1,016,030 | △3.5 | 441 | △6.4 | 4,451 | △9.7 |
’04 | 1,001,159 | △1.5 | 504 | 14.3 | 5,000 | 12.3 |
’05 | 979,717 | △2.1 | 490 | △2.8 | 4,768 | △4.6 |
’06 | 955,229 | △2.5 | 493 | 0.6 | 4,680 | △1.9 |
’07 | 950,250 | △0.5 | 466 | △5.5 | 4,408 | △5.8 |
’08 | 935,766 | △1.5 | 520 | 11.6 | 4,843 | 9.9 |
’09 | 924,471 | △1.2 | 534 | 2.6 | 4,916 | 1.5 |
’10 | 892,074 | △3.5 | 489 | △8.4 | 4,346 | △11.6 |
농식품부는 “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이번에 추가로 매입하는 8만6천t은 공공비축미와 같은 방식으로 사들이며,매입 시기도 10월25일부터 시작되는 공공비축 건조벼 매입과 동시에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에 따라 사후정산하되 벼 40kg당 4만5천원을 우선 지급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올해 쌀값이 조기에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통상적으로 수확기에는 쌀값이 하락하지만 올해에는 농협 등 민간이 보유한 2009년산 잉여물량(2만6천500t)과 신곡 수요량 초과물량(8만6천t)까지 정부가 신속히 매입함에 따라 시장상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5일 기준 산지 쌀값은 12만8천408원에서 13만8천352원으로 9천944원(7.7%)가량 상승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농식품부는 “쌀값이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 격리 물량은 가격 급등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밥쌀 용으로 시장에 방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일 현재 2010년산 쌀 매입진척도를 보면 매입물량은 12만2천t(공공비축미곡 1천t,민간매입 12만1천t)으로 작년 동기(12만6천t)의 96.8% 수준이지만 올해 수확이 예년보다 5∼7일 정도 늦어진 점을 감안하면 ‘정상적 수준’이라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