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硏 외교안보팀 연구 착수..日ㆍ대만서 정보수집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한나라당 대권주자인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측도 대북 상황 변화를 감안한 외교ㆍ안보정책 마련에 시동을 걸고 있다.박 비대위원장은 이르면 26일 출범하는 비대위 구성과 이후 정책ㆍ인적 쇄신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박근혜 외교ㆍ안보팀’은 일찌감치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북한 문제는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 외교ㆍ안보 판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김정은 체제’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대비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에게는 대권주자로서 ‘필수 과목’에 해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박 전 대표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국가미래연구원의 외교ㆍ안보팀은 최근 ‘김정은 체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외교ㆍ안보팀이 지금 ‘김정은 체제’에 대해 당연히 연구하고 있지 않겠느냐”면서 “변화가 있으면 거기에 상응해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 학자들이 할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원의 외교ㆍ안보팀은 김정일 사망 직후 긴급회동을 갖고 김정일 사후 북한 체제에 대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ㆍ안보팀 일원인 서울의 모 대학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외교ㆍ안보팀이 모여 논의를 했고, 이후 박 비대위원장에게 현재 상황을 정리해 보고도 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김정은 체제’ 하에서 정부의 대북정책에 변화가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이를 정리하고 박 비대위원장에게 건의할 것은 건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박 비대위원장이 생각하는 신뢰와 균형이라는 대북원칙이 바뀔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북한체제 안정시까지 보수적 관점을 유지하겠지만, 체제가 안정화하는 시점이 되면 박 비대위원장이 전향적 조치를 건의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