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개혁으론 친노 패권 못 바꿔 원외 인사 망라해 쇄신안 마련할 듯
문재인 대표 등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계파를 초월하고 당내외 인사를 망라하는 초당적 ‘당 혁신기구’를 만들어 당 쇄신안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문 대표가 직접 나서서 당 혁신안을 마련할 경우 ‘친노 비선 논란’을 피할 수 없다는 지도부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새정치연합 고위 관계자는 13일 “친노 패권주의 청산을 요구받은 문 대표가 당 혁신안을 주도적으로 만들 수는 없는 것”이라면서 “당내외 인사를 망라한 당 혁신기구를 만들어 당 쇄신안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당 혁신기구에는 계파를 초월해 친노와 비노, 주류, 비주류 인사들이 모두 참여해 당 쇄신 방안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구상하는 ‘당 혁신기구’는 크게 두 가지 논의 틀을 통해 혁신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발언과 같은 막말 정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과 주승용 최고위원이 요구한 ‘친노 패권주의 청산’ 방안 등이 향후 쇄신안에 담길 주요 과제다.
지도부는 당 혁신기구에 참여할 원외 인사를 영입하기 위해 안철수 의원에게 인재영입위원장을 제안했지만 안 의원은 “당 수습이 먼저”라며 유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는 공갈 발언으로 주 최고위원의 사퇴를 촉발한 정 최고위원에 대해 최고위원회 출석 정지 방침을 결정, 사실상의 ‘직무정지’ 조치를 내렸다. 당헌·당규상 직무정지에 대한 권한이 명시돼 있지 않은 만큼 ‘정치적 징계’를 내린 것이다. 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 최고위원에 대해 “정 최고위원은 분명한 자숙이 필요하다”며 “본인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퇴장해 기자들에게 “가급적 공개 발언을 자제하되 최고위원회의에는 참석하겠다”고 밝혀 불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에 문 대표는 1시간여에 걸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다시 한번 최고위원들의 논의를 거쳐 분명히 밝히겠다. 정 최고위원의 최고위원회의 출석을 정지시키겠다”고 못 박았다.
정 최고위원의 ‘직무정지’ 조치나 ‘당 혁신기구’를 통한 쇄신안 마련 등이 문 대표의 흔들리는 리더십을 다시 회복시켜 줄지는 아직 장담하기 이르다. 문 대표는 이날 비노그룹 의원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의원들과 오찬을 갖고 의견을 수렴했다. 의원들은 당 지도부 사퇴와 정 최고위원의 출당 조치 등을 강력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오영식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당 수습 방안과 관련, “당직 개편을 통한 인적쇄신안을 마련하되 당의 운영과 의사결정이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고, 당을 살리겠다는 분명한 의지와 각오를 보일 필요가 있다”면서 “의원 전체가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중의를 모아 당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5-05-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