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집모 “文 왜곡에 경악…민주주의자로 올바른 태도인가”
새정치민주연합내 비노(非盧·비노무현)그룹 의원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는 15일 당 갈등수습을 위한 자신들의 건의를 문재인 대표가 ‘공천권 지분 요구’로 왜곡하고 자신들을 ‘기득권 집단’으로 규정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민집모 간사인 최원식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 대표는 어제(14일) 지분 요구에 타협할 수 없다는 문건을 발표하려다 그만뒀다. (문건에서는) 마치 민집모 의원들이 공천권을 요구한 것처럼 전제하면서 (우리를) ‘기득권 집단’ 으로 규정했다”면서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집모는 공천권 등 어떤 것도 요구도 한 바가 없다”며 “문 대표가 민집모를 두고 ‘지도부 흔들기’라고 하는 것은 패권정치의 민낯을 고스란히 보여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당내 갈등 수습을 위해 한 얘기를 왜곡한다면 앞으로 어떻게 소통을 하고 당을 수습하겠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성엽 의원의 (공천혁신특위 설치) 발언 취지도 국민을 감동시키는 방안을 제안한 것이지 공천권을 요구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지분요구는 일절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 의원은 “(문 대표는) 소통의 자리에서 의견을 제안한 사람들을 ‘기득권 정치’라고 기다렸다는 듯 규정했다. 견해가 다르다는 이유로 과거집단으로 매도하는 것이 과연 민주주의자로서, 지도자로서 올바른 태도인지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민집모의 이같은 입장은 당내 계파갈등이 격해진 가운데 친노그룹에서 “비노그룹이 지분을 챙기려는 것 아니냐”면서 역공태세를 취하자, 공천권이나 지분을 요구한 적이 없다는 점을 해명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지난 13일 민집모와 문 대표의 오찬 간담회 경위에 대해 상세히 공개했다.
최 의원은 “정청래 최고위원 막말 사건이 벌어지면서, 김현미 당대표 비서실장이 ‘적극적으로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모습을 피했으면 한다’고 조율해 왔다. (그래서) 회원들 가운데 (문 대표의 사퇴) 의견을 피력한 의원을 제외하고 연락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집모 측에서는 민감한 시점이니 연기하면 어떻겠냐고 했으나, 김 비서실장이 그대로 진행하자고 했다”면서 해당 모임이 민집모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자리가 아니었음을 강조했다.
간담회 내용에 대해서도 “정 최고위원에 대해 단호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 정도만 통일된 견해였고, 나머지는 각자 의견을 제시했다”면서 “’비선이 있으면 안된다’, ‘재신임이 필요하다’, ‘사퇴는 바람직하지 않으나 다 내려놓는다는 심정으로 수습해달라’는 의견 등이 나왔고, 문 대표는 ‘비선은 없다’며 길게 설명했다”고 전했다.
최 의원은 “마지막에는 민집모에서 전순옥 의원과 변재일 의원 등이 ‘공천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뜻도 밝혔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