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 정오부터, KB국민·신한·우리·농협은 내일부터…온라인기부 가능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희망펀드’가 21일부터 개시됐다.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청년희망펀드’ 모금 방법을 설명했다.

연합뉴스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이 2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국무조정실 브리핑룸에서 금일부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될 ‘청년희망펀드’가 문을 연다고 밝히고 있다. 국민 중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전국 5개 주요은행(KEB하나은행, KB국민, 신한,우리,농협 은행)의 모든 지점에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신청서를 작성하고 기부하면 된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봉 욱 법무부 법무실장, 추 장관, 고승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참여 희망자는 누구나 해당 은행 지점에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 신청서를 작성하고 기부를 하면 된다. 인터넷뱅킹을 통한 온라인 기부도 가능하다.
공익신탁이란 공익 목적으로 위탁자가 수익자에게 재산을 분배하거나 특정 목적으로 재산을 처분·관리하도록 하는 제도로, 누구나 일정 조건만 갖추면 공익신탁을 설정해 원하는 곳에 기부할 수 있다.
청년희망펀드는 순수한 기부여서 원금과 운용수익을 돌려받지 못한다. 명칭은 펀드지만, 일반 금융 상품과는 달리 청년 일자리사업 지원 등 공익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물품이나 재능 기부 등 추가적인 기부 방법에 대해서는 향후 재단 설립 과정에서 다시 검토해 밝힐 계획이다.
기부자는 기부 금액의 15%, 3천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25%의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펀드를 운용하는 청년희망재단(가칭)의 청년일자리 사업 지원에 사용된다.
우선 지원 대상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 구직자나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으로 1년 이상 취업하고 있는 청년, 학교 졸업 후 1년 이상 취업을 하지 못한 청년 등이다.
구체적인 청년의 취업 기회를 최대한 확대하는 방향으로 지원하되, 구직 애로 원인 해소, 민간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도 함께 추진한다.
또 청년지원 사업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업을 찾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구체적인 목표 금액을 정하지 않고, 청년 고용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펀드 모금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펀드를 운용하는 청년희망재단은 민간 중심으로 운영되며, 정부는 다음 달까지 재단 설립을 마무리지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홈페이지를 구축한 뒤 이를 통해 현장 수요에 적합한 사업들을 발굴하기로 했다.
추경호 실장은 “취업 문제로 고통받는 청년들의 아픔을 해결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하게 됐다”며 “강제적인 방식이 아닌 자율적인 방식으로 모금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 실장은 이어 “펀드 모금은 총선을 겨냥한 청년 표심 잡기 위한 선심성 정책이 아니다”라면서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개인 기부를 원칙으로 하지만 기업 또는 법인의 기부도 받아들일 방침이다.
추 실장은 “기업 기부는 가급적 지양하는 구조를 갖고있다”며 “다만,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는 별도로 검토해서 긍정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 펀드 설치를 제안한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마친 뒤 KEB하나은행 펀드가입 신청서에 서명, 일시금으로 2천만원을, 매달 월급의 20%(340만원)를 기부하기로 결정하며 1호 기부자가 됐다.
박 대통령의 퇴임까지 기부금은 총 1억2천여만원이 될 전망이다.
또 황교안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어 펀드 조성과 활용 방안, 청년희망재단 설립 계획 등을 확정하고 이를 공개했으며 일시금 1천만원에 매달 월급의 10%를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