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박계 단일화를 이룬 새누리당 주호영 당 대표 후보(가운데)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뒤 김용태(왼쪽), 정병국 의원과 손을 맞잡고 있다.연합뉴스
주호영 의원은 비박계 당권주자로 나섰다가 단일화 과정을 거쳤던 정병국, 김용태 의원과 함께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친박 패권주의에 대한 퇴장 명령을 내려달라”면서 “혁신 단일후보인 저 주호영에게 힘을 모아달라. 새누리당 혁신의 출발선에 서서 정권재창출로 나아가는 전당대회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정병국 의원은 “지금 새누리당에는 민주적인 상식이 통용되지 않고 있다. 이대로는 새누리당에 희망이 없다”면서 “이번 전당대회는 총선 참패 이후 무너져 내리는 새누리당을 바로세워 정권재창출의 희망을 살려낼 마지막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용태 의원도 “총선 참패의 아픔을 극복하고 당 혁신의 새출발을 약속하는 전당대회 결과가 ‘도로 친박당’이라면 어떻게 되게나”라면서 “막장공천에 진저리 친 국민들이 우리 당을 완전히 떠날 것이고 당원들마저 떠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막장공천의 희생자, 패권주의의 폭력을 당을 떠났던 주호영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그 자체로 친박 패권주의가 당원과 국민들로부터 퇴장명령을 받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단일화로 인해 계파대결이 더욱 심화된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의 혁신을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새누리당 이대로는 안 된다, 혁신하라는 명령에 부응하기 위한 단일화”라면서 “과정이야 어찌됐든 새누리당의 혁신을 위한 합심”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상대 후보에게 유령 소리, 유령의 명이 떨어졌다”면서 “이대로 된다면 새누리당의 존재감은 지금보다 더한 상태가 될 것이고, 언론에서 당을 청와대 출장소라고 하는데 아마 출장소가 아니라 부속실이 될 가능성이 있다”며 친박 주류를 견제하기도 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