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7일 당 개정 논란과 관련, 기존대로 ‘노동자’ 표현을 복원하기로 했다.
더민주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당 전대준비위가 마련했던 강령 개정안에서 삭제됐던 노동자라는 단어를 다시 넣기로 했다고 전준위 강령정책분과위원장인 민홍철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이에 따라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문제의 강령 부분은 “노동자, 농어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의 권리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수정됐다.
당권주자인 추미애 후보가 문제를 제기했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내용의 삭제도 원상회복돼 원래대로 유지하기로 결정됐다.
민 의원은 “전체 비대위에서 자유스럽게 의견을 개진해 최종 결정했다”며 “그간 강령의 역사성 등에 대해 토의했으며 김 대표도 동의했다. 이건 정체성의 문제가 아니라 자구수정의 문제”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번 새 강령은 당 대표를 뽑는 8·27 전당대회에서 확정된다.
연합뉴스
더민주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당 전대준비위가 마련했던 강령 개정안에서 삭제됐던 노동자라는 단어를 다시 넣기로 했다고 전준위 강령정책분과위원장인 민홍철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이에 따라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문제의 강령 부분은 “노동자, 농어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의 권리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수정됐다.
당권주자인 추미애 후보가 문제를 제기했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내용의 삭제도 원상회복돼 원래대로 유지하기로 결정됐다.
민 의원은 “전체 비대위에서 자유스럽게 의견을 개진해 최종 결정했다”며 “그간 강령의 역사성 등에 대해 토의했으며 김 대표도 동의했다. 이건 정체성의 문제가 아니라 자구수정의 문제”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번 새 강령은 당 대표를 뽑는 8·27 전당대회에서 확정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