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간 새로운 공동선언이 나오지 않는다고 15일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방일을 하루 앞둔 이날 취재진들과 만나 “시간이 촉박할 뿐만 아니라 10여년 동안 한일관계가 계속 경색되고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는데, 특히 2018년 이후에는 그 불편한 관계가 더욱 증폭됐다”며 한일 공동선언 발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만나는 자리에서 그동안의 입장을 총정리하고 정제된 문구를 다듬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 ”고도 설명했다.
이어 “한일간 새로운 미래를 여는 구상이나 합의사항을 협의하고 준비하는 준비위를 이번에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함으로써 한일 공동선언을 좀 더 알차고 내실있게 준비해서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16일 한일정상회담이 종료하고 양국 정상이 공동기자회견을 가질 것이라고도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일본 매체에서 보도한 한일 정상간 ‘2차 만찬’ 가능성도 낮게 봤다. 이 관계자는 “저녁을 두번 먹을 수는 없다”며 “양 정상간에 조금 더 시간을 갖고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수 있는 기회와 공간을 생각하는 것 같다는 정도이지, 만찬을 두번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안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