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기수출국 ‘빅5’

한국, 무기수출국 ‘빅5’

입력 2012-09-03 00:00
수정 2012-09-03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15억 달러로 급증… 美·러·佛·中 이어 5위

지난해 우리나라의 재래식 무기 수출이 급증해 세계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무기 수출국인 유럽이 재정 위기로 주춤한 사이,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 무기 시장에서 주요 수출국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2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조사국(CRS)이 발표한 ‘2004~2011년 개발도상국 대상 재래식 무기 판매’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개도국을 비롯한 외국을 상대로 판매 계약한 재래식 무기류는 무기와 실탄, 훈련 등을 포함해 15억 달러(약 1조 7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미국(663억 달러), 러시아(48억 달러), 프랑스(44억 달러), 중국(21억 달러)에 이어 5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어 이탈리아(12억 달러), 우크라이나(11억 달러), 터키(8억 달러), 스페인(5억 달러), 영국(4억 달러)이 6~10위를 차지했다.

세계 재래식 무기 수입의 83.9%를 차지하는 개도국으로의 수출은 미국(563억 달러), 러시아(41억 달러), 프랑스(27억 달러), 중국(21억 달러), 한국(15억 달러), 이탈리아(11억 달러), 우크라이나(11억 달러), 터키(7억 달러), 브라질(3억 달러), 영국(3억 달러) 순으로, 한국이 역시 5위에 올랐다.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의 수출이 개도국에 집중돼 있음을 보여 준다. 한국은 2004~2007년, 2008~2011년 등 4년씩 합친 통계뿐 아니라 2010년에도 10위권에 들지 못했지만, 최근 무기 수출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순위가 뛰어올랐다.

반면 해마다 10위 안에 들었던 우리나라의 재래식 무기 도입은 국산화 등의 영향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CRS 보고서가 밝힌 지난해 무기 수입 계약국 1~10위에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1위는 사우디아라비아로 337억 달러를 수입했고, 인도(69억 달러), 아랍에미리트연합(45억 달러), 이스라엘(41억 달러), 인도네시아(21억 달러), 중국(19억 달러), 타이완(16억 달러), 이집트(15억 달러) 순이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달 30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 커뮤니티실에서 열린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회장 홍기윤) 제3차 정기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나령 동장과 지역사회 복지관장 등도 참석했다.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36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관내 최다 인원 단체로, 지역 내 다양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반기 주요 행사 성과 보고가 진행되었다. 삼계탕 나눔 행사, 치매 예방 교육, 독거 어르신 반찬 지원 사업 등 협의체의 활발한 활동 내역이 공유됐으며, 김 의원은 특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내용을 담은 책 발간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이어 올가을 개최 예정인 구민 체육대회와 가재울 축제, 어르신 그림 그리기 대회, 요리 여행, 이불 증정 행사 등 하반기 사업 계획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회원들에게 관내 시립도서관 건축 현황과 홍제천 관련 사업 내용 등 서울시 예산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서울시의원으로서 올 상반기 의정활동 내역을 전했다. 또한 김 의원은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2012-09-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