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구 “주민 우려 감안 빨리 발표…작전 보안상 시·도 정도만 밝힐 것”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10일 사드의 한반도 배치 지역과 관련, “사드 배치 부지가 결정돼 있다고 보면 된다”면서 “이에 대한 최종보고서 작성과 승인 절차 등만 남겨 뒀다”고 말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
이어 “현재 배치 예정지의 행정절차와 기술적인 문제를 보완해 가는 단계로서 한·미 양국은 공동실무단의 운영결과보고서를 작성 중이며, 공동실무단장의 서명을 거쳐 양국 국방장관에게 보고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장관은 작전 보안상 ‘시·도’ 정도만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또 사드로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도 요격할 수 있다며 사드의 배치 효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SLBM이) 동해안 동북방에서 한반도를 향해 발사된다면 무수단 미사일과 같은 맥락에서 사드로 요격 가능하다”면서 “사드는 (사거리) 3000㎞급 이하 단거리, 준중거리 미사일 요격체계로, 북한이 보유한 스커드, 노동, 무수단 미사일을 다 요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중국의 반발과 관련, “(사드 레이더의) 최적 거리는 600∼800㎞로, 한반도 북부 국경에 연해 중국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했다. 한·중 관계 악화 우려에 대해서는 “국가 간 관계에서 사드 하나가 그만큼 파괴력 있는 문제인가 냉정하게 살펴보고 전략적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 장관은 “한반도에는 이미 미군이 전력화해 배치한 사드 5개 포대 중 1개 포대가 배치될 것”이라면서 “효용성은 미국의 협조를 얻어 자료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사드 레이더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출력의 차이는 있지만 안전성은 걱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고 답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6-07-1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