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고강도 비판… “朴대통령 의중” 중론

靑 고강도 비판… “朴대통령 의중” 중론

입력 2013-07-13 00:00
수정 2013-07-13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익표 발언에 대응수위 높여

청와대가 박근혜 대통령을 ‘귀태의 후손’으로 비유한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변인의 발언에 초강경 대응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단호한 이수석
단호한 이수석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이 12일 춘추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과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민과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과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여기에는 다목적 의도가 담겨 있고, 박 대통령의 의중도 실린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이례적으로 홍 원내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세 차례나 입장을 내놨다. 우선 이정현 홍보수석이 홍 대변인 발언 당일인 11일 오후 5시쯤 기자들과 만나 “승복도 하나의 소양이고 리더의 자질”이라고 말했다. 이때만 해도 발언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불과 한 시간 뒤 김행 대변인이 긴급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을 뽑아준 국민에 대한 모욕”이라면서 강한 유감을 나타냈고, 12일 아침 일찍 다시 이 수석이 공식 브리핑을 갖고 국민과 대통령에 대한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이는 청와대가 정치 쟁점이나 현안에 대해 거리를 뒀던 기존 기조와는 180도 다른 것이다.

여기에는 박 대통령의 뜻이 고스란히 반영됐다는 게 중론이다. 청와대의 대응이 빠르고 강도 높게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으로 꼽힌다. 실제 이 수석은 “박 대통령의 언급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지만, 부정도 하지 않았다.

청와대가 이처럼 강경 대응으로 선회한 배경에는 홍 대변인의 발언이 “도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을 군국주의 부활을 외치는 일본 아베 신조 총리에 빗대는 등 단순한 정치적 공세를 넘어 악의적 인신공격이라는 것이다.

야권에서 잇따라 나오고 있는 대선 불복 관련 발언이나 박 대통령에 대한 정통성 시비를 겨냥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를 묵과하거나 방치할 경우 박근혜 정부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수석이 이날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과, 국민이 참여한 대선에 불복하고 부정하는 발언들이 최근 민주당의 공식 행사에서 연이어 나온 끝에 어제 발언까지 나왔다”면서 “국민에게 이렇게 저항하고 국민의 선택을 이렇게 부정, 부인하면서 어떻게 상생의 정치를 말할 수 있느냐”라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7-1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