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특성화고교(전문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이 4년 만에 20%대까지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추진계획’의 ‘특성화고 취업 및 진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역 내 75개 특성화고의 올 2월 졸업생(1만 9954명)의 취업률은 20.45%(4080명)에 그쳤다. 이는 2006년의 8994명(40.1%)과 비교하면 절반에 불과한 수치다. 서울 지역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률은 ▲2007년 35.2% ▲2008년 33.4% ▲2009년 21.9% 등 매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 통계는 각 학교가 교육청에 보고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돼 4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현장 실습생도 일부 포함돼 있다.
이 같은 현상은 2004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정원 외 특별전형’이 시행되면서, 졸업 후 취업하기보다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이 늘어난 데다 최근의 경기 침체로 고졸자의 취업률이 크게 낮아진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특성화고 졸업생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41.9%로 지난해(36.3%)보다 5.6%포인트나 높아졌으며, 특히 서울 지역 4년제 대학 진학률은 ▲2008년 25.1% ▲2009년 26.9% ▲2010년 29.9%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교육청은 특성화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 수요 맞춤형 학교인 마이스터고를 2012년까지 2곳에서 4곳으로 확대하고, 교육청이 지원하는 학교 수도 현재 48개에서 66개로 늘리는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성화고의 취업률 하락은 학생들의 대학 진학 선호에다 대졸자의 하향 취업 증가, 경기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면서 “졸업 후에 곧바로 취직하더라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자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4일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추진계획’의 ‘특성화고 취업 및 진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역 내 75개 특성화고의 올 2월 졸업생(1만 9954명)의 취업률은 20.45%(4080명)에 그쳤다. 이는 2006년의 8994명(40.1%)과 비교하면 절반에 불과한 수치다. 서울 지역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률은 ▲2007년 35.2% ▲2008년 33.4% ▲2009년 21.9% 등 매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 통계는 각 학교가 교육청에 보고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돼 4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현장 실습생도 일부 포함돼 있다.
이 같은 현상은 2004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정원 외 특별전형’이 시행되면서, 졸업 후 취업하기보다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이 늘어난 데다 최근의 경기 침체로 고졸자의 취업률이 크게 낮아진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특성화고 졸업생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41.9%로 지난해(36.3%)보다 5.6%포인트나 높아졌으며, 특히 서울 지역 4년제 대학 진학률은 ▲2008년 25.1% ▲2009년 26.9% ▲2010년 29.9%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교육청은 특성화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 수요 맞춤형 학교인 마이스터고를 2012년까지 2곳에서 4곳으로 확대하고, 교육청이 지원하는 학교 수도 현재 48개에서 66개로 늘리는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성화고의 취업률 하락은 학생들의 대학 진학 선호에다 대졸자의 하향 취업 증가, 경기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면서 “졸업 후에 곧바로 취직하더라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자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11-0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