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29일 103년간 서부 경남지역 서민들에게 공공의료 서비스를 펼친 진주의료원 폐업을 결정했다.
도는 이날 진주보건소에 폐업 신고를 한 것을 시작으로 관련 내용을 공식 발표하는 등 절차를 착착 진행했다.
그러나 진주의료원 본관에는 노조원 30여 명이 남아 도의 폐업 진행을 끝까지 막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이 점거 투쟁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는 이날 오전 폐업 결정을 근거로 진주의료원 정문과 본관 등에 외부인 출입을 통제한다는 안내판과 폐업 공고문을 부착했다.
진주의료원 박권범 직무대행은 이날 낮 12시 50분 진주의료원을 직접 찾아와 본관 앞에서 진주의료원 폐업을 통보했다.
박 직무대행은 “폐업 이후 의료원의 모든 자산과 채권·채무 등은 경남도로 귀속된다”며 “본관 건물 내 출입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이날 ‘경상남도 진주의료원 폐업에 따른 노조사무실 이전 등 조치 통보’ 공문에서 “청사 폐쇄 후에도 본관 건물을 점유하는 경우에는 무단침입, 재산권 침해, 업무방해 등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경남도는 진주의료원에 외부 경비용역을 투입하려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폐업을 공식 발표한 29일에는 진주의료원 노조원 70여 명에게 휴대 전화 메시지로 해고를 통보했다.
6월 진주의료원 해산 조례안 처리에 앞서 본관에서 투쟁 중인 노조원들을 해산시키는 일만 남은 셈이다.
경남도는 경찰의 협조를 구해 진주의료원 본관 등 주요 출입구에 공무원 30여 명을 배치, 외부로의 출입을 전면 차단하고 있다.
명목상으로는 의료원 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언제든지 용역 등을 동원해 강제 이행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몸싸움 등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
점거 투쟁 중인 노조원들과 경남과 진주지역 시민대책위는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진주의료원 본관 내부에서는 지난 24일부터 노조원들이 도청에서 파견한 직원들의 출입을 저지하고 있다.
이들은 매일 10여 명씩 조를 짜 야간에도 파견직원은 물론 외부 경비용역의 출입을 막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폐업 결정을 내린 29일 본관에 있는 노조 사무실의 이전을 요청했지만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역 시민 대책위는 이날 진주의료원 본관 앞에서 폐업 철회를 촉구하고 홍준표 경남지사를 규탄하는 집회가 여는 등 투쟁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일방적으로 결정된 진주의료원 폐업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며 폐업 철회를 위한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대책위는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의 철회, 진주보건소의 진주의료원 폐업 신고서 반려, 대통령·정부·여당의 진주의료원 정상화 노력, 국회 청문회와 국정조사 등을 촉구했다.
경남도의 폐업 결정에 따라 경남도의회는 진주의료원 해산 조례안을 오는 6월 열릴 임시회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도는 이날 진주보건소에 폐업 신고를 한 것을 시작으로 관련 내용을 공식 발표하는 등 절차를 착착 진행했다.
그러나 진주의료원 본관에는 노조원 30여 명이 남아 도의 폐업 진행을 끝까지 막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이 점거 투쟁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는 이날 오전 폐업 결정을 근거로 진주의료원 정문과 본관 등에 외부인 출입을 통제한다는 안내판과 폐업 공고문을 부착했다.
진주의료원 박권범 직무대행은 이날 낮 12시 50분 진주의료원을 직접 찾아와 본관 앞에서 진주의료원 폐업을 통보했다.
박 직무대행은 “폐업 이후 의료원의 모든 자산과 채권·채무 등은 경남도로 귀속된다”며 “본관 건물 내 출입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이날 ‘경상남도 진주의료원 폐업에 따른 노조사무실 이전 등 조치 통보’ 공문에서 “청사 폐쇄 후에도 본관 건물을 점유하는 경우에는 무단침입, 재산권 침해, 업무방해 등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경남도는 진주의료원에 외부 경비용역을 투입하려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폐업을 공식 발표한 29일에는 진주의료원 노조원 70여 명에게 휴대 전화 메시지로 해고를 통보했다.
6월 진주의료원 해산 조례안 처리에 앞서 본관에서 투쟁 중인 노조원들을 해산시키는 일만 남은 셈이다.
경남도는 경찰의 협조를 구해 진주의료원 본관 등 주요 출입구에 공무원 30여 명을 배치, 외부로의 출입을 전면 차단하고 있다.
명목상으로는 의료원 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언제든지 용역 등을 동원해 강제 이행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몸싸움 등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
점거 투쟁 중인 노조원들과 경남과 진주지역 시민대책위는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진주의료원 본관 내부에서는 지난 24일부터 노조원들이 도청에서 파견한 직원들의 출입을 저지하고 있다.
이들은 매일 10여 명씩 조를 짜 야간에도 파견직원은 물론 외부 경비용역의 출입을 막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폐업 결정을 내린 29일 본관에 있는 노조 사무실의 이전을 요청했지만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역 시민 대책위는 이날 진주의료원 본관 앞에서 폐업 철회를 촉구하고 홍준표 경남지사를 규탄하는 집회가 여는 등 투쟁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일방적으로 결정된 진주의료원 폐업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며 폐업 철회를 위한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대책위는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의 철회, 진주보건소의 진주의료원 폐업 신고서 반려, 대통령·정부·여당의 진주의료원 정상화 노력, 국회 청문회와 국정조사 등을 촉구했다.
경남도의 폐업 결정에 따라 경남도의회는 진주의료원 해산 조례안을 오는 6월 열릴 임시회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