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4명 사망자를 낸 부산 남북항대교 영도연결도로의 지상구조물 거푸집 붕괴사고와 관련 기술자문을 맡은 전문가들은 외부 충격에 따른 사고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기술자문인 공병승 동서대, 이환우 부경대, 경갑수 해양대 교수 등은 20일 “정확한 원인은 상세한 검토를 통해 확인되겠지만 이전에 시공된 구간에서는 없었던 외부충격이 사고구간 시공 과정에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외부충격과 관련해 돌풍으로 인한 펌프카 붐대의 거푸집 지지대 충격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
부산시는 사고경위와 관련, 사고 장소는 비상주차대(노견) 구간(확폭 구간 3.75m, 일반 구간 2.05m)이며 상현 슬라브(길이 80m)의 레미콘 타설 후 30m 구간의 지지대(동바리)가 콘크리트 하중을 이기지 못해 무너졌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사고현장에 대한 감식,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사고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공사를 중단하는 한편 토목학회 등 전문기관에 의뢰해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또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사고수습에 나서는 한편 사망자와 유족과 장례 및 보상을 협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기술자문인 공병승 동서대, 이환우 부경대, 경갑수 해양대 교수 등은 20일 “정확한 원인은 상세한 검토를 통해 확인되겠지만 이전에 시공된 구간에서는 없었던 외부충격이 사고구간 시공 과정에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외부충격과 관련해 돌풍으로 인한 펌프카 붐대의 거푸집 지지대 충격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
부산시는 사고경위와 관련, 사고 장소는 비상주차대(노견) 구간(확폭 구간 3.75m, 일반 구간 2.05m)이며 상현 슬라브(길이 80m)의 레미콘 타설 후 30m 구간의 지지대(동바리)가 콘크리트 하중을 이기지 못해 무너졌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사고현장에 대한 감식,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사고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공사를 중단하는 한편 토목학회 등 전문기관에 의뢰해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또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사고수습에 나서는 한편 사망자와 유족과 장례 및 보상을 협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