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행 교통편 결정 어떻게
경기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 여객선을 타고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간 것은 학생들의 선호도 조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경기도교육청은 16일 사고 후 브리핑에서 “사전 선호도 조사 결과 학생들이 비행기보다 선박을 많이 선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여객선 여행이 TV 프로그램에 소개되고 불꽃놀이 등 야간 이벤트도 있어 학생들이 좋아했다는 것이다. 학교는 수학여행이 끝나고 돌아오는 18일 오후에는 제주공항에서 여객기 편으로 김포공항에 돌아올 예정이었다. 수학여행비는 여객선과 항공요금을 합쳐 1인당 교사 29만 7000원, 학생 33만원으로 책정됐다.
단원고의 애초 계획에 따르면 2학년 학생 325명, 도움반(장애인 특수학급) 학생 4명, 인솔교사 16명 등 모두 345명이 15~18일 3박 4일 일정으로 제주도 수학여행을 다녀올 계획이었다. 일반 학생 325명과 교사 15명은 사고 여객선에 올랐다. 도움반 학생 4명과 교사 1명은 제주행 대한항공 여객기에 탑승하기 위해 16일 오전 8시 30분쯤 버스를 타고 공항으로 출발했다가 사고 소식을 듣고 되돌아왔다. 개인 사정 등으로 수학여행에 참여하지 않은 도움반과 운동부 학생 등 7명은 애초 참가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학생들과 교사들은 제주도 도착 후 전용버스를 타고 16일과 17일 성산, 한림, 서귀포, 중문 등 관광지를 둘러볼 예정이었다. 계획대로라면 학교 측은 지난 9일 인솔 교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교내에서 일정 점검, 업무 분담, 주의 사항 확인 등 사전 연수를 진행했다. 14일에는 학생들이 수학여행 사전 교육을 받았다. 인솔 교사들은 교감을 단장으로 학생지도, 위생관리, 홍보·오락, 생활지도, 양호, 회계 등으로 업무를 분담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4-1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