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는 17일 새벽 전남 진도 해상의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본부가 꾸려진 진도 실내체육관을 찾아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는 여객선 탑승자 가족과 만났다.
이미지 확대
정홍원 국무총리가 17일 새벽 여객선 침몰 보호소가 설치된 전남 진도실내체육관을 방문 후 발길을 돌리다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를 받으며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홍원 국무총리가 17일 새벽 여객선 침몰 보호소가 설치된 전남 진도실내체육관을 방문 후 발길을 돌리다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를 받으며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과 파키스탄 순방을 마치고 전날 밤 10시쯤 전남 무안공항으로 귀국한 정 총리는 목포의 서해지방해양경찰청에서 긴급 사고대책 관계장관회의를 가진 뒤 대책본부로 이동했다. 그러나 정 총리가 0시 30분쯤 체육관으로 입장하자 정부의 대처 방식과 구조 지연 등에 분노한 가족들의 격한 항의가 이어졌다.
가족들은 정 총리와 관계자들을 향해 “어디서 얼굴을 들고 오느냐”, “잠수정을 왜 투입하지 않느냐. 우리 아이들을 살려내라” 등 고성을 지르며 정 총리 일행을 둘러쌌다. 정 총리는 “(구조작업을) 책임있게 하겠다”고 말했으나 가족들의 분노는 사그라들지 않았다.
체육관 안을 둘러보며 가족들에게 둘러싸인 채 계속 항의를 듣던 정 총리는 체육관 밖으로 나가려는 과정에서 이를 저지하는 가족들로부터 잠시 저항을 받았고, 2∼3명이 뿌린 생수를 맞아 머리와 어깨가 젖기도 했다. 사고대책본부에서 10여분간 머무른 뒤 자리를 옮긴 정 총리는 일단 서울로 돌아와 계속 구조활동을 지휘하기로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