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곳 정부 기관장 전용차 조사…친환경 자동차는 고작 7대 그쳐
행정·입법·사법부 45개 기관의 기관장 전용 차량 중 경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비율이 9.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을 주관하는 환경부 장·차관도 배기량 2000㏄ 이상 휘발유 차량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장·차관도 마찬가지다.
23일 공기업개혁시민연합에 따르면 행정·입법·사법부 45개 기관장의 전용 차량 73대를 전수 조사한 결과 단 7대(9.6%·5월 현재)만 경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였다. ‘환경친화적 자동차’는 전기·태양광·하이브리드·클린디젤·천연가스·연료전지 자동차 등 운행 시 환경오염이 덜한 차량을 의미한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카니발’(디젤)을 쓰다가 같은 해 8월 배기량 3778㏄ 휘발유 차량 ‘에쿠스’로 바꿨다. 역시 카니발(디젤·2199㏄)을 타던 정연만 차관도 올해 2월 3300㏄ 휘발유 차량인 ‘K9’으로 바꿨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에쿠스, 이관섭 1차관과 문재도 2차관은 K9을 이용하는 등 하나같이 배기량이 큰 휘발유 차량을 전용차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11년 7월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 “공용차량 중 업무용 승용차량의 구입 및 임차 시 경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비율을 연간 50% 이상 유지한다”고 규정한 바 있다. 하지만 기관장 전용 차량에 대해서는 강제성을 두고 있지 않다. 산업부 관계자는 “경차·환경친화적 자동차 구입 규정은 업무용 차량에만 적용되고 장·차관이 타는 전용 차량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수영 공기업개혁시민연합 정책팀장은 “전용차 중 9.6%만 경차 및 환경친화 차량인 것은 대형차 이용을 억제하는 정부 정책과 충돌한다”며 “기관장들은 ‘환경보호’를 외면하고 일반 공무원들만 국민들에게 환경보호를 외치는 우스꽝스러운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4-10-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