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예정자의 7.4%만 퇴직준비가 완료됐고 나머지는 구체적인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최근 시 누리집,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지역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예정자 176명을 대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평생학습 지원방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퇴직준비 정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55.1%는 ‘준비 부족’, 37.5%는 ‘대략적 계획수립’, 7.4%는 ‘구체적인 계획수립’이라고 각각 답변했다.
퇴직 이후 겪게 될 문제를 묻는 말에는 51.2%가 ‘경제적 어려움’, 28.5%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건강’이라고 답해 재정과 건강을 가장 큰 불안요소로 생각했다.
퇴직 후 활동계획은 ‘취미·여가생활’이 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귀농·전원생활’(21%), ‘봉사활동’(20.5%), ‘재취업’(12.5%), ‘창업’(6.8%) 순서로 응답했다.
평생학습 수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90.4%가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우선지원 프로그램은 ‘전문자격취득 및 기술교육’(34.7%), ‘문화·예술·교양 교육’(29.0%), ‘사회 환원활동’(23.3%), ‘귀농·귀촌 교육’(10.8%) 등의 순서를 보였다.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교육 분야로는 ‘취미·교양’(28.7%), ‘경제’(24.4%), ‘건강’(22.8%), ‘정서’(14.8%), ‘재취업’(9.3%) 등이었다.
응답자의 33%는 ‘평생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참여기관은 공공기관(31.2%), 문화센터(15.0%), 사회복지관(11.7%) 등이었다. 평생학습에 만족했다는 응답은 62.2%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울산시는 최근 시 누리집,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지역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예정자 176명을 대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평생학습 지원방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퇴직준비 정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55.1%는 ‘준비 부족’, 37.5%는 ‘대략적 계획수립’, 7.4%는 ‘구체적인 계획수립’이라고 각각 답변했다.
퇴직 이후 겪게 될 문제를 묻는 말에는 51.2%가 ‘경제적 어려움’, 28.5%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건강’이라고 답해 재정과 건강을 가장 큰 불안요소로 생각했다.
퇴직 후 활동계획은 ‘취미·여가생활’이 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귀농·전원생활’(21%), ‘봉사활동’(20.5%), ‘재취업’(12.5%), ‘창업’(6.8%) 순서로 응답했다.
평생학습 수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90.4%가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우선지원 프로그램은 ‘전문자격취득 및 기술교육’(34.7%), ‘문화·예술·교양 교육’(29.0%), ‘사회 환원활동’(23.3%), ‘귀농·귀촌 교육’(10.8%) 등의 순서를 보였다.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교육 분야로는 ‘취미·교양’(28.7%), ‘경제’(24.4%), ‘건강’(22.8%), ‘정서’(14.8%), ‘재취업’(9.3%) 등이었다.
응답자의 33%는 ‘평생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참여기관은 공공기관(31.2%), 문화센터(15.0%), 사회복지관(11.7%) 등이었다. 평생학습에 만족했다는 응답은 62.2%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