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상어, 철갑둥어 등 아열대나 열대 어종들이 최근 동해안에 잇따라 출현, 수산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동해안에 출현한 아열대 어종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은 흉상어, 철갑둥어 등 아열대나 열대 어종들이 최근 동해안에 잇따라 출현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사진 맨 왼쪽 위는 강구 앞바다에서 잡힌 흉상어, 아래는 영덕군 축산리 정치망에 잡힌 고래상어, 오른쪽은 철갑둥어의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동해안에 출현한 아열대 어종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은 흉상어, 철갑둥어 등 아열대나 열대 어종들이 최근 동해안에 잇따라 출현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사진 맨 왼쪽 위는 강구 앞바다에서 잡힌 흉상어, 아래는 영덕군 축산리 정치망에 잡힌 고래상어, 오른쪽은 철갑둥어의 모습. 연합뉴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FIRA)은 총허용어획량(TAC)제도 규정에 따라 어획·어종 조사를 벌이는 과정에서 흉상어, 철갑둥어, 고래상어 등 특이해양생물이 최근 동해안에 나타난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어종은 흉상어와 철갑둥어.
지난 8월 3일 경북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 앞바다 정치망에서 몸길이 93cm의 흉상어가 잡혔다.
이어 9월 15일 경북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앞바다 연안자망에는 철갑둥어가 걸려들었다.
몸길이 11cm의 비교적 작은 물고기인 철갑둥어는 노랑과 검정의 화려한 색상을 자랑한다.
이들 두 어종은 주로 아열대나 열대 해역에서 발견되는 어종이어서 동해안에 발견되기는 매우 드문 일이다.
또 9월 30일 영덕군 축산리 앞바다 정치망에 몸길이 4.3m의 고래상어가 혼획됐다.
고래상어는 현존하는 어류 중 덩치가 가장 큰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이다.
아열대 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고래상어는 부산 해운대 연안에서 발견된 적이 있지만 동해안 영덕군 연안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채성 FIRA 동해지사장은 “기후 온난화로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동해안에서도 다양한 아열대, 열대성 어종이 수시로 출현하고 있다”며 “수산생물의 변동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