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 형사들 거쳐 간 ‘시그널’ 무대 역사 속으로

‘베테랑’ 형사들 거쳐 간 ‘시그널’ 무대 역사 속으로

입력 2016-03-09 08:56
수정 2016-03-09 08: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청 광수대 옛 청사 하반기 철거…유영철·범서방파 수사 장소

작년 1천만 관객을 돌파한 흥행 영화 ‘베테랑’, 인기 드라마 ‘시그널’의 무대가 된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광수대) 옛 마포구 청사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9일 경찰에 따르면 마포구 마포동에 있는 광수대 옛 청사 신축사업 예산 증액분이 조만간 확정된다. 경찰은 예산이 확정되면 설계 용역 후 올 하반기 중 철거를 시작한다.

경찰 관계자는 “철거 시작은 11월께로 보고 있고, 조금 당겨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1986년 형사기동대로 출발, 기동수사대를 거쳐 지금 이름을 얻은 광수대는 일선 경찰서 관할 구역을 넘나들며 사회적 이목이 쏠린 사건을 다룬다.

연쇄살인범 유영철 사건, 폭력조직 범서방파 수사 등 굵직한 강·폭력사건을 맡은 곳도 서울청 광수대다. 김승연 한화 회장 보복 폭행 사건도 수사 첩보를 광수대가 포착했다.

다루는 사건 규모가 대체로 크고 일반인의 관심도 많아 경찰 내 손꼽히는 수사 전문가들이 근무한다. 최근 영화 ‘베테랑’과 드라마 ‘시그널’에 등장해 일반인들에게도 유명해졌다. 마포 청사는 이들 작품 곳곳에 등장한다.

그러나 청사는 광수대라는 조직 위상이 무색할 만큼 열악했다.

1974년 지은 마포구청 청사를 1984년 경찰이 서울시에서 임차해 서울경찰청 기동부대 청사로 쓰기 시작했다. 이 건물과 경찰의 첫 인연이다.

2000년 12월 광수대의 전신 기동수사대가 이곳을 청사로 삼으면서 광수대의 ‘마포 시대’가 열렸다. 그러나 건물이 워낙 낡아 비가 오면 실내로 물이 새기 일쑤였고, 무너질 위험까지 제기되는 등 상태가 심각했다.

2007년 청사 신축 필요성이 경찰 내부에서 공론화했다. 경찰은 2009년 서울시와 토지교환으로 청사 부지 소유권을 넘겨받고, 정부에 예산을 요청해 2012년 227억 원을 배정받았다.

지반이 암반이라 공사 품이 더 들고 추가 안전조치가 필요해 예산 증액을 요청했다. 경찰은 올 4∼5월께 증액분이 무리 없이 확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예산 배정 전 실사를 나온 기획재정부 관계자가 청사를 둘러보고는 옥상에 방수층이 없어 실내로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고 혀를 내둘렀다는 후문도 있다.

신축사업이 발을 떼자 광수대는 2014년 7월 옛 중랑경찰서 건물을 임시 청사로 쓰기 시작했다. 이후 광수대에서 분리된 서울청 지능범죄수사대에 중랑구 청사를 내주고 작년 1월 종로구 내자동 서울경찰청으로 다시 사무실을 옮겼다.

새로 짓는 청사는 지상 7층, 지상 3층으로 기존 청사의 약 4배 규모다. 광수대와 과거 한몸이었던 서울청 지능범죄수사대도 이곳에 입주한다.

광수대의 ‘마포 시대’를 경험한 형사들은 자신들이 한때 땀과 열정을 쏟던 추억의 공간이 사라진다는 데 ‘시원섭섭’한 감정을 나타냈다.

광수대에 근무했던 한 경찰관은 “비만 오면 사무실 천장에서 컴퓨터 위로 물이 떨어져 부랴부랴 장비를 옮기던 기억이 난다”며 “수사력을 인정받는 조직 위상에 걸맞은 청사가 지어진다니 기쁘면서도 한편으로는 서운하다”고 말했다.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서울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은 지난 30일 이기재 양천구청장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목동6단지와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과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 통합개발의 신속 추진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목동6단지는 전체 14개의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가장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단지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사업 절차가 대폭 단축됐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주택공급 촉진방안’의 첫 공정관리 시범사례로 지정돼, 정비사업 전 단계를 기존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고, 단계별 공정 집중 관리를 통해 11년 이내 착공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동6단지의 선도적인 추진을 필두로, 연내 전 단지 결정고시와 조기착공 시범사업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14개 전체 단지 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목동 6·8·12·13·14단지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했고, 목동 4·5·7·9·10단지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끝났다. 목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