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월호 참사 생존학생 졸업식이 열린 12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 명예 3학년 교실을 찾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교실을 찾아 희생 학생들을 추모하고 있다.2016. 1.12.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단원고는 지난 1월21일 ‘세월호 참사 희생(실종)학생 학적처리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경기도교육청에 보냈다. 단원고는 이 공문을 통해 “2016년 개학 이전에 세월호 참사로 희생(실종)된 학생들의 학적을 제적처리 하고자 한다”며 “관련 법령을 검토, 지침을 빠른 시일 내에 시달해달라”고 요청했다.
단원고는 그 사유에 대해 “2016학년도 신입생 입학 및 재학생 진급으로 학적을 현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학적처리(학년 과정의 수료 또는 졸업 인정) 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다”고 회신했다.
이후 단원고는 희생학생 246명은 전원 제적하고 실종학생들(4명)은 유급 처리했다. 희생학생 유족들은 “명예졸업을 시켜준다고 하더니 유족들 몰래 희생학생들을 지워낸 단원고의 행태에 분노할 수밖에 없다. 자식잃은 부모의 가슴에 또다시 대못을 박았다”고 울분을 토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생활기록부 제적처리가 유가족과의 사전 협의 과정 없이 진행된 점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유가족에게 정중히 사과한다. 앞으로 학교 측과 긴밀히 협의해 원만히 처리해 나가겠다”고 공식입장을 밝혔다.
경기도와 도의회, 경기도교육청, 4·16가족협의회, 단원고 등 7개 기관·단체 대표는 이날 오후 안산 정부합동분향소에서 희생학생들이 사용하던 단원고 기억교실(존치교실) 이전 문제의 사회적 합의를 담은 ‘4·16 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했다. 기억교실을 안산교육청으로 이전하는 시기와 방법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