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금연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성 흡연자가 남성 흡연자에 비해 우울증과 자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중앙대병원 김선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정재우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25일 ‘남녀 한국인들의 흡연상태, 우울증 및 자살 간의 상관성’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수집한 19세 이상 성인 남녀 3만 218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여성 흡연자가 우울증을 경험하는 비율은 28.4%로, 남성(6.7%)에 비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살 충동도 여성 흡연자는 35.1%로 남성(12.4%)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여성 흡연자는 여성 비흡연자에 비해 우울감(28.9%, 17.1%), 자살 충동(35.1%, 18.9%), 자살 시도(3.6%, 0.8%)등에서 모두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남성은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여성 흡연율은 소폭 감소하거나 정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흡연자들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한 요소들을 감별해내고 조기 개입하는 것이 여성의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청소년 시기에 흡연 이외에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전략적인 대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흡연을 예방하고 금연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번 논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Psychiatry Investigation)에 실렸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