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16개 생명보험사와 8개 손해보험사의 치매보험 상품 103개를 조사한 결과 경증 치매 보장 상품은 5개(4.9%)에 불과했다고 3일 밝혔다. 반면 현실에서 치매환자의 경증·중증 비율은 정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경증 환자 비율은 84.2%, 중증 환자 비율은 15.8%였다. 다시 말해 경증 환자가 전체의 80%가 넘는데, 적용대상 보험 상품은 5%도 채 안되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2014년 6월 현재 치매보험 계약건수는 570만 8079건, 수입보험료는 5조 5783억원인데 비해 보험금은 5657건에 593억원으로 전체의 1% 정도에 불과했다. 실제로 조사 대상 103개 상품 98개가 중증 치매에 대해서만 보험금을 지급했고, 경증 치매에 적용되는 것은 단 1개 뿐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1년 29만 2600여명이었던 병원 방문 치매환자는 지난해 45만 9000여명으로 4년 새 57%(16만 4421명)나 늘었다. 이 중 입원치료 환자의 1인당 진료비는 1192만 8029원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입원 치료가 필요한 중증에 이를 경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증 단계에서 서둘러 치료할 필요가 있고, 보험으로 실질적 보장 혜택을 받으려면 경증 치매를 포함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8-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