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인 스포츠] 기다려, 괴물 세근이 형…기억해, 새 괴물 김종규

[피플 인 스포츠] 기다려, 괴물 세근이 형…기억해, 새 괴물 김종규

입력 2012-12-10 00:00
수정 2012-12-10 0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희대 센터 김종규(21·3학년)에게 프로·아마 최강전은 아쉬움이 남는 대회였다. 대학 최고 센터의 면모를 프로 형들과 관중 앞에서 뽐내고 싶었지만 부상이 걸림돌이었다. 대회 1주 전 경복고와의 연습경기에서 리바운드를 잡다 왼쪽 발목 인대가 찢어졌다. 그러나 김종규는 지난달 29일 전자랜드전에서 39분55초를 뛰며 12득점 10리바운드로 활약했다. 63-65로 아쉽게 졌지만, 유도훈 전자랜드 감독은 “대성할 선수”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지난 6일 막을 내린 2012 프로-아마농구 최강전을 통해 ‘포스트 오세근’으로 주목받은 경희대 센터 김종규가 지난 7일 경기 용인시 경희대 국제캠퍼스 농구장에서 인터뷰를 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지난 6일 막을 내린 2012 프로-아마농구 최강전을 통해 ‘포스트 오세근’으로 주목받은 경희대 센터 김종규가 지난 7일 경기 용인시 경희대 국제캠퍼스 농구장에서 인터뷰를 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대학리그 챔피언인 만큼 1회전 탈락은 절대로 안 된다고 다짐했어요. 못해도 8강, 내심 4강까지는 기대했죠.”

지난 7일 경기 용인시 경희대 국제캠퍼스 농구장에서 만난 김종규는 여전히 아쉬움을 떨치지 못하고 있었다. 처음 부상했을 때는 경기를 뛸 수 없었지만, 밤새 얼음 찜질을 해서 붓기를 가라앉혔다고 했다. 전자랜드전을 딱 10분만 뛰겠다는 생각으로 코트에 나섰지만, 막상 프로와 대결하니 투지가 치솟아 거의 풀타임을 뛰었다. 덩크만 3방을 꽂았다. 김종규는 “레이업슛도 점프를 하는 것은 마찬가지라 차라리 덩크가 발목에 덜 무리를 줄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김종규가 농구공을 처음 손에 잡은 것은 초등 3학년 때. 150㎝까지 자란 키 때문에 학교 측의 제안을 받았다. 아버지(188㎝)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덕분에 쑥쑥 키가 자랐고, 중학교 3학년 때는 190㎝를 넘었다. 고교 진학 직전 이미 덩크에 성공했다.

현재 207㎝인 그가 주목받는 이유는 키 하나 때문만은 아니다. 탁월한 점프력과 스피드를 갖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골대 밑에서는 엄청난 위압감으로 철벽 수비를 펼친다. 전자랜드가 그 때문에 인사이드 공격을 제대로 시도하지 못할 정도였다.

김종규에게 아쉬운 게 있다면 체중이다. 95㎏에 불과해 프로에서는 외국인 센터 등에 밀릴 수 있다. 살이 잘 찌지 않는 체질인 데다 고되기로 악명 높은 경희대 훈련을 소화하다 보니 쉽게 체중이 늘지 않는다고 했다. “제겐 웨이트가 정말 중요합니다. 대학 입학 때는 84㎏이었는데 그나마 지금은 좀 찐 거예요. 예전에는 어깨와 가슴 등 눈에 보이는 부위 위주로 단련했지만, 요즘은 허리와 복근 위주로 훈련을 해요. 살을 찌우더라도 스피드와 점프력을 지금처럼 낼 수 있는 몸 상태를 만드는 게 중요하죠.”

김종규는 2013~14시즌 프로에 데뷔할 수 있다. 프로농구연맹(KBL)이 대학 선수들의 프로 진출을 앞당기기 위해 드래프트 시기를 10월로 조정한 덕분이다.

그의 프로 첫해 목표는 ‘괴물’ 센터 오세근(KGC인삼공사)을 뛰어넘는 것. “세근이 형이 지난 시즌 쌓은 기록을 저 역시 달성하고 싶어요. 또 김주성(동부) 선배를 닮고 싶습니다. 올해 상반기 런던올림픽 예선에서 선배와 함께 태극 마크를 달고 뛰어 정말 기뻤습니다. 그의 성실함과 리더십을 배우고 싶어요.”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경희대 센터 김종규는

▲1991년 7월 3일 출생 ▲207㎝·95㎏ ▲성남초-성남중-낙생고-경희대 3학년 ▲부모와 1남1녀 ▲2010년 대학리그 수비상, 2011년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선수권대회 국가대표, 2012년 런던올림픽 최종예선 국가대표 및 대학리그 챔피언결정전 최우수선수(MVP)

2012-12-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