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4대악 뿌리 뽑으려면
거듭되는 적발에도 체육계 비리가 끊이지 않는 것은 특정 인물에 좌지우지되는 각 체육단체들의 불투명한 행정과 제 식구 감싸기 문화 등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18일 ‘스포츠 4대악’(조직 사유화, 입시비리, 승부조작·편파판정, 폭력·성폭력)을 뿌리 뽑기 위해서는 외부 감사 도입, 비리 체육인 영구 퇴출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정용철 서강대 스포츠심리학과 교수는 “지난해 모 협회의 외부 회계 감사 보고서를 본 적이 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 싶을 정도로 비상식적인 일이 많았는데 이사회에서 그냥 넘어갔다”면서 “체육계에 ‘제 식구 감싸기 관행’이 남아 있어 비리가 적발돼도 변화하려는 의지가 없고 면피성 인물 교체만 반복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희준 동아대 스포츠과학대학 교수는 “비리로 적발된 협회 관계자나 지도자들이 징계를 받고 1년쯤 지나 되돌아오는 경우가 흔하다”면서 “대한체육회가 비리가 한 번만 적발돼도 체육계에서 영구 퇴출시키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체육계 관계자들도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전 국가대표를 지낸 김모씨는 “생활고를 겪는 일부 감독들이 대학 진학을 빌미로 학부모들에게 돈을 요구하고, 이런 돈으로 심판과 협회 관계자를 만나 식사를 하는 등 밑바닥부터 협회 고위 관계자들까지 먹이사슬로 이어져 있는 것이 문제”라면서 “종목별 특수성과 오랜 관행이 단발적인 수사로는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5-05-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