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올림픽 개막을 이틀 앞두고 러시아 요트 선수 파벨 소치킨이 금지약물 복용(도핑)으로 인한 출전 금지 징계를 모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세계요트연맹(WS)는 4일 리우 대회 남자 470급에 출전하려다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맥라렌 보고서에 이름이 언급돼 출전 정지당했던 소치킨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새로운 지침에 따라 그가 도핑을 저질렀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그의 출전 정지 징계를 풀었다. 이제 그는 IOC의 3인 위원회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으면 리우올림픽에 참가하게 된다.
WS는 이날 성명을 내고 소치킨이 두 차례 연속된 도핑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맥라렌 보고서에 이름이 오르긴 했지만 “경기 중이나 경기 외 시점 중 어느 때 검사를 해 양성반응이 나왔는지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나아가 만약 그의 샘플이 경기가 열리지 않는 시점에 제출받은 것이라면 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고 제재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러시아 언론은 국제수영연맹(FINA)이 러시아 수영 선수 블라디미르 모로조프와 니키타 로빈체프의 리우올림픽 출전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AP통신은 연맹이 “IOC 3인 위원회가 여전히 모로조프와 로빈체프의 항소를 심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고 전했다. IOC도 지난 3일 리우올림픽에 출전할 러시아 선수 숫자에 대해 며칠 안으로 최종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개막 직전까지 IOC 3인위원회의 심사가 계속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당초 387명으로 꾸릴 예정이었던 러시아 선수단은 IOC 이사회가 출전 허용 여부를 각 경기단체가 판단하도록 함에 따라 지금까지 190여명의 출전이 허용되고 114명은 출전을 거부당했다. 80여명에 대한 해당 경기단체의 판단은 아직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마크 애덤스 IOC 대변인은 “심사가 3인 위원회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리우 올림픽에 출전할 러시아 선수가 몇명이 될지 추측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27일부터 리우 현지에 사무소를 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는 지난주 8명의 러시아 역도 선수들이 지난주 국제역도연맹(IWF)의 출전 정지 징계가 부당하다는 항소를 기각했다. 역시 17명의 러시아 조정 선수들이 제출한 항소 역시 이유없다고 결정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