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여성 심판 역사 만드는 홍선희 심판 “후배들 위해 제가 잘해야죠”

KBL 여성 심판 역사 만드는 홍선희 심판 “후배들 위해 제가 잘해야죠”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1-02-22 20:52
수정 2021-02-23 07: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선희 심판이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KBL센터 지하 트레이닝실에서 공을 들고 미소 짓는 모습.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홍선희 심판이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KBL센터 지하 트레이닝실에서 공을 들고 미소 짓는 모습.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남자 선수들이 거칠게 뛰어다니는 코트 위에 찰랑찰랑한 긴 머리로 누군가 뛰어다닌다면 당연히 시선이 갈 수밖에 없다. 낯선 풍경일 수 있는 코트 위의 긴 머리를 이제는 낯설지 않게 만든 사람이 있다. 한국농구연맹(KBL) 홍선희(44) 심판이 그 주인공이다.

홍 심판은 2007년 박윤선 심판에 이은 2호 여성 심판이자 KBL 최장수 여성 심판이다. 현재 KBL 소속 18명의 정규 심판 중 여성 심판은 홍 심판과 이지연(39) 심판뿐이다.

홍 심판은 초등학교 5학년 때 농구를 시작해 대학시절까지 선수로 코트 위를 뛰어다녔다. 졸업반 때 진로를 고민하다 대한민국농구협회 심판강습회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심판의 길을 걸었다.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KBL센터에서 만난 홍 심판은 “어릴 때부터 정해진 일정에 갇혀 생활했는데 내가 처음으로 의지를 갖고 스스로 뭔가를 해본 게 심판이었다”고 설명했다.

원해서 하는 일인 만큼 애착도 컸다. 홍 심판은 2급 심판 자격을 시작으로 1급과 국제심판자격까지 따며 미래를 준비했다. 2002년부터 산곡북초등학교 농구부 코치로 활동하다 공부를 더 해야겠다는 생각에 인하대 체육교육과에 편입해 공부했다. 그러던 중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으로부터 심판 제의가 들어와 2008년부터 프로 심판의 길을 걸었다.
재미가 붙자 꿈도 커졌다. 홍 심판은 “KBL이 한국 최고의 무대니까 가고 싶었다. KBL 심판 모집 요강에 만 35세가 기준이었는데 그때가 딱 만 35세여서 지원했다가 떨어졌다”면서 “WKBL로 돌아갔다가 2015년 심판 트라이아웃에 참가했고 그때 KBL에서 연락이 왔다”고 설명했다.

주변 도움 속에 적응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워낙 항의가 거칠어 자격지심이 생겼다.

홍 심판은 “처음에는 ‘KBL 경력이 없어서 그런가’, ‘여자라서 무시하는 건가’ 생각했다”면서 “그런데 경험이 쌓이고 보니 내가 타깃이 아니라 승부가 걸린 입장에서 그럴 수 있겠구나 싶더라”고 했다. 이어 “내가 정확하게 봤으면 문제가 없을 거라 생각하니 깨고 나와야겠다 싶었다”고 덧붙였다.

홍기환 심판부장은 “KBL은 여성 심판이라고 남성 심판과 차별을 두지 않는다”면서 “특히 체력테스트는 선수도 연습하고 봐야 할 정도인데 홍선희 심판은 평소에도 많이 노력한다. 여성 심판의 새 역사를 쓰는 선두 주자”라고 칭찬했다.

최장수 여성 심판인 만큼 책임감도 크다. 최선을 다해 좋은 모습을 보여줘야 후배들이 들어올 수 있다는 생각이 강하다. 그는 “‘여자라서 그런가’란 생각은 스스로를 약하게 만드는 것 같다. 선수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정말 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심판은 “남자 리그고 남자들이 주도하는 거라고 겁부터 내지 않았으면 한다”면서 “여자니까 선수로는 못 뛰겠지만 심판이니까 충분히 뛸 수 있다. 누구든 도전해봤으면 좋겠다”고 응원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1-02-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