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가계 실질소득 0.1% 뒷걸음질 0%대… 물가 상승률만큼도 못 쫓아간 셈
최근 1년 동안 0%대 성장이 계속되면서 가계소득이 물가가 오른 만큼도 못 쫓아가는 상황이 발생했다. 특히 물가 상승률 자체가 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득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월급쟁이들의 근로소득(1.9%), 자영업자 등의 사업소득(1.1%), 정부가 무상으로 주는 이전소득(0.4%) 등은 늘었다. 하지만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이자소득 등이 줄어 재산소득이 31.9% 급감했다.
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소비심리도 꽁꽁 얼어붙었다. 가계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3분기 월평균 360만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0.7% 늘었고, 월평균 명목 소비지출도 257만 9000원으로 0.7% 늘었지만, 실질지출은 0.2% 줄었다. 3분기째 감소다.
가구의 소비성향은 71.5%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동일한 수준에 머물렀다. 월 100만원을 버는 가구가 71만 5000원만 쓰고 나머지 28만 5000원은 쌓아뒀다는 뜻이다.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다.
이런 가운데 빈부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41만 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감소했다. 1분위 소득이 줄어든 것은 경기 불황으로 일용직이 줄고 영세자영업의 경기도 나빠지면서 근로·사업소득이 각각 12.4%, 12.5%씩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던 임시일용직은 올해 1, 2분기 각각 7만 8000명, 6만 5000명이 줄어드는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 소득은 854만 5000원으로 2.4% 늘어났다. 이에 따라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4.81로, 지난해 같은 기간(4.46)보다 올라갔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4분기에도 구조조정 확대, 청탁금지법 시행 여파와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가계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11-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