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원화 강세에 발목…“주가 당분간 횡보”

삼성전자, 원화 강세에 발목…“주가 당분간 횡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9 11:28
수정 2018-01-09 1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메모리 반도체 모멘텀은 강화 전망…순수 반도체 업체와 차별화 부각

삼성전자가 원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자 당분간 주가가 횡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9일 매출액 66조원, 영업이익 15조1천억원의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 분기보다 각각 6.4%, 3.9% 증가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인 15조8천억원은 밑도는 것이다.

증권사들은 그동안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전망치를 계속 줄여왔다.

대신증권의 경우 한때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을 16조9천억원까지 전망했지만 15조9천억원에 이어 최근에는 15조3천억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원/달러 강세에 따른 실적 둔화 영향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도 원화 강세와 달러 약세 영향으로 반도체 영업이익이 10조1천억원에 그쳐 당초 예상보다는 낮았다. 반도체 부문의 성과급 발생이 실적에 미친 영향도 있다.

모바일인터넷(IM) 부문도 원화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며 실적이 둔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9월 말 1,145.4원에서 지난해 말 1,070.5원까지 떨어진 상태다.

이 때문에 원화 강세 흐름은 당분간 삼성전자 실적과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실적 콘퍼런스가 예정된 이달 말까지 삼성전자 주가는 횡보가 예상된다”며 “단기적으로 원화 강세 흐름이 완화돼야 주가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원화 강세가 삼성전자 기업 가치를 근본적으로 훼손하지 않아 긍정적인 시각은 유지했다.

최근 주가 조정으로 가치평가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해 287만6천원까지 올랐다가 주가 조정을 보여 지난달 26일 241만원까지 내렸고 최근에는 250만~260만원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도 오전 11시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1.77% 내린 255만5천원에 거래 중이다.

반도체 고점 논란도 삼성전자 주가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3분기부터 반도체 메모리 산업의 모멘텀 둔화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경우 비메모리(Sys.LSI) 사업부와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바일·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부문의 성장 모멘텀이 강화돼 다른 순수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재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인수업체인 자동차 전자장비업체 하만의 고사양 음향기기를 필두로 글로벌 스마트폰·TV 등 업계 판도를 뒤엎을 가능성도 크게 평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