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도 빙과류 매출은 뚝…커피 열풍·에어컨 보급에 밀려나

폭염에도 빙과류 매출은 뚝…커피 열풍·에어컨 보급에 밀려나

이승은 기자
입력 2016-08-04 09:36
수정 2016-08-04 09: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염에도 빙과류 매출은 뚝
폭염에도 빙과류 매출은 뚝 평년을 웃도는 이례적인 폭염에도 빙과류 매출은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커피 등의 대체음료 열풍, 에어컨 보급, 빙과류 할인경쟁을 이유로 꼽았다. 연합뉴스


올여름 이례적 폭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계절상품인 빙과류 매출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빙과업계에 따르면 스크류바, 죠스바, 월드콘, 설레임 등을 생산하는 롯데제과의 지난달 빙과류 매출은 6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했다.

메로나와 비비빅, 투게더 등이 대표상품인 빙그레의 지난달 빙과류 매출도 작년 동기보다 6% 하락한 370억원이었으며 부라보콘과 누가바 등을 생산하는 해태제과의 지난달 빙과류 매출 역시 27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 내려앉았다.

과거에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 빙과류 매출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이런 공식이 깨진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커피를 비롯한 여름철 대체음료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빙과업계의 과도한 할인경쟁과 저출산에 따른 자연적 고객 감소 등의 영향으로 성수기 빙과류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에어컨 보급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도 빙과류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요즘 점심식사를 마친 직장인들이 너도나도 손에 들고 있는 것은 빙과류가 아닌 시원한 커피음료”라며 “커피 등 대체음료 시장이 점점 커지고 출산율도 감소하면서 빙과류 매출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과거 에어컨 보급률이 낮았을 때는 저녁에 집에 앉아있다가 열대야에 숨이 턱 막히면 자연스럽게 시원한 빙과류를 찾았으나 이제는 대부분의 가정에 에어컨이 보급된 것도 큰 변화”라고 덧붙였다.

업체 간 경쟁 과열로 빙과류에 대해 상시 할인이 이뤄지고 있는 것도 매출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팔면 팔수록 이익률이 악화하는 구조가 굳어지자 롯데제과와 해태제과는 최근 권장소비자가 표기 확산 정책을 펴는 등 수익구조 개선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유통업체의 요구에 따라 그동안 스크류바와 같은 바제품에는 권장소비자가를 표기하지 않았으나 과도한 할인행사에 따른 이익률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8월부터는 권장소비자가를 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