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사무사(思無邪)/노주석 논설위원

[씨줄날줄] 사무사(思無邪)/노주석 논설위원

입력 2010-12-31 00:00
수정 2010-12-31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종 ‘사무사’(思無邪)를 접한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 조종암 바위에 새겨져 있다. 명나라 의종의 친필을 우암 송시열이 각자(刻字)한 것이다. 임진왜란 때 원병을 보내 준 명나라의 은공을 잊지 말자는 의미였다고 한다. 전남 곡성 성출산 입구 계곡 바위에 남아 있는 것은 조선 고종의 필체이다. 면암 최익현이 새긴 것이다. 면암은 이 글을 받들어 의병을 일으켰다.

김종필 전 총리는 1999년도 신년 휘호를 ‘일상사무사’(日常思無邪)로 정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공동정부를 형성했던 JP에게 이 휘호는 의원내각제 개헌을 바라는 복심이었다. 송태옥 시인은 “비둘기가 도덕 시간에 교실에 들어왔다/있음은 없음에서 나서/나도 너도 없는 듯 있고 있는 듯 없다며/노자 도덕경을 강의하는데…비둘기도 학생일 수 있고/학생도 비둘기일 수 있는 것이라고…학생들보다 노자를 먼저 깨달은 비둘기는/말 않고 가르치겠다며/말없이 교실을 떠난다/빈 책상자리가 있는 듯 없는 듯 휑하다.”라고 ‘사무사’를 읊었다. 윤동주는 ‘서시’에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이라고 사무사를 현대시어로 옮겼다.

공자는 기원전 11세기 주나라 초기부터 기원전 6세기 춘추전국시대 중기까지 전해 내려오던 노래 3000여편 중 자질구레한 것은 빼고 정리했다. 현재 311편이 전해지는데, 6편은 제목만 있으므로 정확하게 말하자면 305편으로 편집한 셈이다. 논어 위정편에 ‘자왈시삼백(子曰詩三百)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 왈사무사(曰思無邪)’라고 했다. 공자 가라사대 “시 300편은 한 마디로 말하자면 생각함에 삿됨이 없다.”라고 정의한 것이다. ‘시삼백’은 시경의 그 시대 제목이다. 시 속에 담긴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결론이었다.

사무사에 대한 해석이 구구하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듯 각자 취향에 따라 다르게 푼다. 조선왕조실록 단종 편에 “사무사란 무슨 뜻인가.”라는 단종의 질문을 받은 사육신 박팽년의 답이 명답이다. “생각하는 바에 사사로움이 없는 것이니, 마음이 바름을 일컫는 것입니다. 마음이 이미 바르면 모든 사물에서 모두 바름을 얻을 것입니다.”

또 한해를 접는 마지막 날이다. 생각 사(思), 없을 무(無), 간사할 사(邪) 세 글자의 의미가 무겁게 다가온다. 되새겨 보면 내뱉었던 말, 행동거지, 그리고 인터넷의 바다를 떠도는 기록물들이 두렵다. 삿됨이 없는 삶을 어찌 얻을 것인가. 사무사라, 사무사라….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0-12-3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