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시오. 이 자식 젖 좀 먹여주오. 어미 없는 어린 것이 불쌍하지 않소.”하면 빨래를 하다가도 먹여준다.
이미지 확대
고재득 성동구청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재득 성동구청장
심청전의 한 구절이다.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인당수에 몸을 던진 심청이는 젖동냥으로 자랐다. 조선시대뿐 아니라 1960년대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젖동냥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었다. 분유도, 우유도 귀하던 시절에 엄마를 일찍 잃은 옆집 젖먹이를 안타깝게 생각해 내 아이가 먹을 것을 흔쾌히 나눠주곤 했던 것이 우리의 인정이었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는 각박한 시대라 하지만 우리 지역에는 아직 끈끈하고 탄탄한 지역사회 커뮤니티가 유지되고 있다. 얼마 전 우리 지역 내 17개 동에 동별 장학회가 만들어졌다. 구에서 운영하는 장학기금도 30억원가량 조성돼 운영되고 있지만 이 동별 장학회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지역을 걱정하는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장학회가 세워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벌써 2억원이란 돈이 모아졌다. 큰 재산가가 큰 금액을 기부한 것이 아니라 주민과 직능단체 회원, 점포주 등 500명이 넘는 평범한 이웃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탠 것이다.
얼마 전 장학금을 받은 한 학생은 “누군가 나에게 응원을 보내주고 있다는 것이 좌절하고 혼자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큰 힘이 되었다. 앞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지역의 후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중학교 때부터 동 직능단체의 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아왔는데 스위스의 한 명문대에 4년 장학생으로 합격했다. 나는 이 학생이 앞으로 우리 지역을 이끌어 나갈 든든한 재목이 되어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예전에는 동네에서 나쁜 짓을 하지 못했다. 부모님뿐 아니라 옆집 할머니, 뒷집 아저씨의 눈도 매서웠기 때문이다. 가난하고 힘든 시절이지만 우리가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은 매서웠지만 따뜻했던 옆집 할머니, 뒷집 아저씨의 인심 때문이 아닐까.
2011-1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