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중음악계의 키워드는 ‘한류’ ‘신인 발굴’ ‘90년대 음악’으로 정의된다. 지난해 이 무렵에도 대중음악 지형도 분석을 통해 아이돌 음악의 아시아 시장 점령과 해외 진출의 성과를 예측하는 ‘한류’를 언급했고,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신예 싱어송라이터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악기상마다 통기타 판매 열풍이 부쩍 늘었다고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올해도 한류와 신인 발굴은 그 연장선 상에서 발전을 거듭했다. 특히 한류는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좁은 내수시장을 벗어나 해외 시장 개척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세계 대중문화의 허브로 일컬어지는 뉴욕과 파리를 비롯해 영국, 스페인 등지에서 우리 아이돌 그룹이 공연을 펼치면서 K팝을 알리고 있다.
격세지감이다. 1969년 10월 15일 낮. 김포공항은 200여명의 단발머리 소녀 팬들이 모여들어 아수라장이 되었다. 클리프 리처드 내한 공연이 있던 그때를 당시 한 언론사가 전한 문구다. 40여년 전 해외 연예인에게 보내는 팬덤은 당시로서도 놀라운 광경이었다. 우리 연예인은 언제 저렇게 해외에서 명성을 날릴 수 있을까 자괴감이 들 때였다. 그리고 오늘, 한류의 힘은 세계 각지의 10대들에게 어필할 만큼 외형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K팝이 유럽을 흔들고 있다는 외향적 징후를 뒷받침할 만한 내실 있는 음악 차트 성적표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더구나 유튜브를 통한 음악듣기 다운로드가 다른 해외 가수들을 제치고 독보적인 수치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그것은 음악 중심이 아니라 새로운 스타일의 접근이라는 점에서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제 초기 단계다. 치밀한 프로모션과 현지화 전략, 언어의 장벽, 각국의 문화적 정서를 융합하는 과제를 세밀하게 풀어낸다면 기대 이상의 결실도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한국형 아이돌 육성 시스템이 그에 대한 상당한 노하우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인 뮤지션을 발굴하는 오디션 프로그램도 큰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대중음악계를 비롯해 우리 사회는 만들 줄은 알지만 육성하고 관리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 남이 잘되는 꼴을 못 본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음악 팬들의 지지를 받으며 승자가 된 뮤지션을 진화시키기는커녕 타 방송사 출신이란 점을 내세워 암묵적인 담합을 통해 출연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그야말로 ‘방송 연좌제’다.
공중파 채널은 공공재다. 국민의 것인데도 자사의 이익을 위해 타사의 콘텐츠는 안중에도 없다. 귀중한 재원을 뿌리 뽑겠다는 생각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그런 발상과 실천을 하는지 묻고 싶다. 그런데도 언론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왜 이리도 많으냐는 질문만 거듭하고 있다. 이런 속사정을 신랄하게 파헤치지 않는다면 방송사 음악프로그램의 행패는 대중 음악계에 갈등을 초래할 것이 자명하다.
새로 발굴된 신인 뮤지션을 격에 맞는 무대 위로 올려 주지 않으면 피해는 대중음악계와 음악수용자들에게 돌아간다. 대중이 없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고 따라서 대중을 위한 문화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음악프로그램을 책임지는 프로듀서가 음악을 짓밟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
기성 가수들의 경연장이 된 ‘나는 가수다’를 비롯해 ‘불후의 명곡’은 올해 대중음악계에 가장 관심을 끈 프로그램이다. 기성 뮤지션들의 가창력을 순위로 가린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자성의 목소리도 쏟아져 나왔다. 그럼에도 그간 이 프로그램들을 통해 숨어 있는 주옥 같은 ‘90년대 음악’을 뒤돌아보는 기회를 맛봤다. 몸으로 듣는 요즘 음악에서 가슴으로 듣는 아날로그적 향수를 느낌으로써 10대들에게는 마치 창작곡처럼 들렸을 것이고, 중장년층에게는 그때 그 시절을 반추하는 낭만을 제공했다. 상실한 음악적 균형을 바로잡게 해주는 교두보 역할을 톡톡히 한 셈이다.
2011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여전히 사사로운 감정과 이익에만 매달린 것은 아닌지 대중음악계는 반성할 때다.
2011-11-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