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12개 신 중에서 여신이 아니라 인간을 어머니로 둔 유일한 신은 포도주와 술의 신인 디오니소스다. 제우스의 자식이 다 그러하듯이 디오니소스도 헤라의 미움을 받아 힘들게 태어났다. 제우스는 테베의 공주 세멜레를 사랑하였지만 부인 헤라에게 들킨다. 헤라는 세멜레를 찾아가서 그녀를 사랑한 사람이 진정 제우스인지 확인하라며 원래의 모습으로 나타날 것을 부탁해 보라고 꼬드긴다. 아무것도 모르는 제우스는 세멜레의 부탁을 받아 천상의 옷을 입고 번개를 들고 세멜레 앞에 나타났다. 그 강렬한 빛과 번개를 맞은 인간 세멜레는 그만 타 죽고 말았다. 제우스는 죽어가는 세멜레의 뱃속에서 아기를 꺼내 자신의 허벅지에 넣고 꿰맨다. 이렇게 태어난 신이 바로 디오니소스다.
이미지 확대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디오니소스는 헤라의 방해로 그리스에서 쫓겨나 가시밭길과 같은 삶을 살았다. 하지만 포도재배법과 포도즙으로 술을 만드는 법을 배워 추종자들과 다시 그리스로 돌아왔을 때는 다른 어떤 신들보다 인기가 높았다. 이들 일행은 술에 취해 정열적인 춤과 노래로 축제를 벌여 사람들로부터 열광적인 대우를 받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극단적인 종교의식과 비이성적 행위인 광란의 축제는 사라지고 합창과 무용경연대회, 혹은 연극이나 가장행렬로 축제가 바뀌었다. 이렇게 해서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혹은 아리스토파네스와 같은 그리스가 낳은 위대한 희비극 시인이 탄생했다. 따라서 디오니소스는 포도재배나 술의 신이라기보다는 축제의 의미로 더 잘 알려졌다. 즉 디오니소스축제는 중심보다 주변을 이용해 사람을 모으고 성공한 좋은 예다.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시대가 열린 지 20여년이 지났다. 하지만 어느 지방자치 할 것 없이 공동화 현상이 숙제로 남았다. 대전은 발 빠르게 구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시작했는데, 그것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으능정이 거리다.
1980년대까지 약 20년간 우리나라 중부권 행정, 상권, 그리고 전통문화의 메카로 불리던 대전역 인근 은행동도 도심공동화에는 어쩔 수 없었다. 하지만 이 거리를 문화예술 거리로 새롭게 단장시키면서 소극장을 중심으로 공연장과 화랑, 화실, 도예점, 혹은 골동품점 등 문화예술 관련 업종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으능정이 소극장 축제, 청소년 마임페스티벌, 문화예술거리축제 등 다양한 축제로 사람을 불러 모았다. 상인들도 합세하여 으능정이에 가면 무엇인가 즐거운 일이 있고, 얻어 가는 것이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서 발벗고 나섰다.
더더욱 지난달에는 대전의 랜드마크라 할 수 있는 대전스카이로드를 으능정이 거리에 설치했다. 214m에 이르는 초대형 발광다이오드(LED) 영상아케이드 구조물인 스카이로드는 하늘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다양한 예술작품을 첨단기술의 향연으로 즐길 수 있게 했다.
이런 점에서 으능정이는 중심부에서 주변으로 눈을 돌려 사람을 모으고 성공한 디오니소스축제와 다르지 않다. 겨울 초입에서 으능정이의 하늘을 거닐며 디오니소스축제와 같이 주변의 중요성을 느낄 기회를 삼으면 어떨까.
2013-12-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