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린 기자의 잡식주의자] 당신에게 내일은

[정서린 기자의 잡식주의자] 당신에게 내일은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1-03 18:00
수정 2017-01-04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서린 문화부 기자
정서린 문화부 기자
서 있기조차 위태로워 보이는 노부부가 여행에 나섰다. 여름의 싱그러운 초록은 묻히고 눈발이 매섭게 몸을 때리는 겨울의 한복판. 이들이 당도한 곳은 일본 홋카이도 쓰키우라 마을이다. 숙박을 겸하는 카페에 짐을 푼 부부에게선 떠난 이들 특유의 설렘은 감지되지 않는다. 외려 죽음의 냄새가 짙다. 의심을 확신으로 바꿔 놓는 건 남편의 행동이다. 오랜 지기였을 은혼식 기념 시계를 멈춘 것.

몇 해 전 지진으로 평생 운영해 온 목욕탕에 외동딸마저 잃은 이들에게 ‘내일’이란 차라리 형벌이다. 부부는 처음 연을 맺던 이곳에서 삶을 끝내려 온 참이다. 담담히 마지막 식사를 기다리던 부인의 눈길이 카페 주인이 갓 구워 낸 콩빵에 가닿는다. 평생 빵을 입에 대지 않던 부인은 콩이 소담스레 박힌 빵을 달게 먹고는 남편에게 말한다. “나 내일도 이 빵 먹고 싶어. 미안해, 여보.”

“어제는 됐는데 오늘은 안 된다”며 내일을 체념하려 했던 남편은 오랜만에 보는 아내의 생기에 소리 죽여 오열한다. 그러곤 시계를 만진다. 초침과 분침, 시침이 또각또각 몸을 재게 놀린다. 생은 다시 이어진다. 영화 ‘해피 해피 브레드’의 한 장면이다.

고작 콩빵 하나에 죽으려던 이들이 삶의 의지를 되찾는다니, 너무 순진하고 과도한 설정 아니냐고도 할 수 있겠다. 반 년이 지나 부인이 병사한 뒤 남편은 카페 주인에게 이런 편지를 보낸다. “그 사람, 생전 먹지 않던 빵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고 나는 부끄러우면서도 처음으로 깨달았어요. 사람은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계속 변하는구나.”

노부부에게 콩빵은 절망의 다른 말이던 ‘내일’을 기다리게 하는 것이었던 셈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직 내디뎌 보지 않은, 뻗어 보지 않은, 맛보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내일도 오늘 같을 것’이라 예단했던 남편이 “교만했다”고 털어놓는 이유다.

몇 해 전 여든여섯에 새 시집 ‘심장이 아프다’를 펴낸 김남조 시인은 “노쇠에서 오는 고달픔에 시가 나의 초상화처럼 뼈마디마다 아프다”면서도 이런 말을 들려줬다.

“살아서 느끼는 모든 궁핍, 목마름, 고통이 있더라도 사람들과 연분을 맺고 아름다운 과일의 껍질을 벗기고 안 가본 새로운 땅에 발을 딛는 한 삶이라는 선물은 고통의 총합을 감(減)하고도 남는 가치이지요.”

한참 아픈 시기를 통과하고 있던 차에 삶의 비밀을 꿰뚫어 보는 시인의 말은 조용히 잔등을 쓸어 줬다. “내일은 오늘 같지 않을 것”이라고 위로하며.

지난해는 미리 내치고 싶은 ‘내일’들이 유독 많았다. 국민을 업신여기는 국가, 부끄러움을 모르는 권력, 부와 지위에 따라 먹이사슬을 재편하는 불공정 사회 등 분노와 무력감, 절망으로 오늘을 채워 넣는 재료는 차고 넘쳤다.

하지만 내일을 기다려 봐도 좋겠다는 기대의 창문도 동시에 열렸다. “내일은 오늘과 같아선 안 된다”는 의지로 거리로 뛰어나온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변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직 내디뎌 보지 않은 땅으로 걸음을 옮길 출발선에 섰다. 이 물음이 더욱 절실하고 귀한 이유다. 당신에게 내일을 기다리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rin@seoul.co.kr
2017-0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