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윤기 안전행정부 성과후생관
정부 3.0은 사회보장 업무에서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출생신고를 하러 온 국민에게 정부 전산시스템 전체를 검색해 보육비 지원이나 예방접종 서비스 등 당사자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골라 맞춤형으로, 그것도 정부가 먼저 알려 주며 서비스할 수 있다. 우리 정부의 서비스 수준을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정책이긴 하지만, 정부 3.0의 본격 추진에 앞서 눈여겨볼 부분이 있다.
4월 29일자 서울신문의 “암호문처럼 알쏭달쏭”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국립국어원이 정부의 보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이 기사는 행정기관이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 설명 없는 전문적인 용어 등을 남발하고 있는데, 어려운 용어는 서비스 이용자인 국민의 행정기관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로 정부의 공문서를 보면 미사여구 등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거나, 반대로 조사와 어미를 다 떼어 내고 암호처럼 축약된 표현을 쓰는 게 다반사다. 공문서를 이해할 수 없다는 국민 불평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어서 정부도 그간 행정표준용어를 정하고 공문서 쉽게 쓰기 정책을 펼쳐 왔으나 아직도 개선의 여지는 많아 보인다.
한국 성인 중 문맹의 비율은 1.7%로 세계 최저 수준이지만,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글을 읽으면서도 읽은 글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기능적 문맹’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한국이 가장 높다고 한다. 즉 의약품 설명서를 읽고도 약 복용량을 결정하지 못하는 수준의 국민이 스웨덴은 6.2%인데 한국은 38%였다. 고도의 이해력을 가진 국민 비율은 스웨덴이 35.5%인데 비해 한국은 2.4%라고 한다.
이 연구 결과와 서울신문 기사를 종합해 보면 정부가 정책을 발표해도 발표 내용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국민이 다른 선진국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짐작이 가능하고, 이는 정부 3.0의 출발점 설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현재처럼 공무원이 어려운 공문서와 보도 자료만 생산한다면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추진해도 국민들은 이를 알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방되고 공개되는 공공정보와 데이터도 국민이 이해하고 활용하기엔 너무 어려운 내용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공무원 채용 시험을 담당하는 과장으로 재직할 때의 일이다. 수험생 주의 사항을 신문에 사전 광고 했는데도 수험생들은 잘 모르고 있었고, 사전 안내가 미흡했다는 수험생의 항의가 끊이지 않았다. 관련 분야의 교수를 초빙한 끝에 공무원과 수험생 사이에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공무원과 말이 잘 통하고 이해가 잘 되는 것은 개방과 소통의 기본이다. 정부 내에서는 예사로이 통용되는 언어가 국민에게는 외국어 또는 난해한 암호처럼 느껴질 수도 있음을 깨닫고,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공문서와 공공 정보를 만드는 것이 정부 3.0을 밑에서부터 받쳐 주는 토대일 것이다.
2013-05-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