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학이시습/정형근 서울 정원여중 교사

[옴부즈맨 칼럼] 학이시습/정형근 서울 정원여중 교사

입력 2015-02-10 18:00
수정 2015-02-10 1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습(學習)은 배우고 또 배우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정형근 서울 정원여중 교사
정형근 서울 정원여중 교사
서울신문의 2015년 특별기획 ‘2015 빈부 리포트’는 빈부 격차가 심화된 우리 사회의 실상을 심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의식주에서부터 결혼문화, 건강관리, 재테크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양극화된 우리 사회의 민낯을 보여 준다. 그중에서 1월 6일자에 실린 ‘절대 빈곤층의 자녀 교육’을 읽은 후 마음이 무거웠다. 특히 이 기사의 후속 기사(1월 12일자)에서 ‘초등학교 때의 어휘 실력이 고등학교에까지 지속된다’는 어느 사회 교사의 인터뷰를 읽고 씁쓸함을 느꼈다.

학습 성취 정도가 학생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부모의 경제력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분석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상황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상황의 해결에 필요한 방법이나 방향을 제시하지 않은 것은 아쉽다.

경험상 부모의 경제력이 높은 학생들이 모두 공부를 잘하는 것은 아니다. 또 부모의 경제력이 좋지 않아도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도 제법 있다. 부모의 경제력 이외에도 학생들의 학습능력이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다는 말인데, 그것은 학습 동기와 학습 방법이다.

요즘 학생들은 새벽부터 저녁까지 학교, 학원, 인터넷 강의, 과외 등을 통해 정말 쉬지 않고 배운다. 하지만 시험이 끝나자마자 많은 학생들이 자신이 배운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 물론 신이 인간에게 내린 선물 중 하나가 바로 ‘망각’이라지만, 아까운 시간과 돈을 투자해 배운 내용을 너무나 쉽게 잊는 것은 큰 손실이다.

이처럼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學)은 있지만, ‘습’(習)이 없었던 것이다. 즉 학생들이 배우기는 많이 배웠으되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익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자는 논어에서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중에서 제일 먼저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라고 말했다. ‘무언가를 배우고 때맞추어 그것을 익힌다면 역시 기쁘지 않겠느냐’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배움에서 ‘학이시습’을 해야 할까. 지식을 많이 배우는 것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처하지 못한다. 배운 지식을 현실에 적용해 상황에 맞는 지혜를 만드는 ‘학이시습형 인간’이 무한경쟁의 시대에 자신과 국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은 학생들이 많은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배운 지식을 갈고 닦아 지혜를 얻도록 유도해야 한다. 현명한 부모라면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해 자식에게 배울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스폰서가 아니라 배운 것을 스스로 익히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가 돼야 한다.

지혜는 배운 지식이 많다고 해서, 학부모의 경제적 능력이 높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 아니다. 물론 배운 지식이 많다면 지혜로 갈고 닦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요즘처럼 스스로 다지는 시간 없이 끊임없이 배우기만 한다면 그런 지식들은 단지 지식 또는 죽은 지식에 머물고 말 것이다. 자신이 배운 것을 익히고 숙고하는 시간을 갖는다면, 그 누구라도 삶의 지혜를 얻을 것이라 믿는다.

앞으로 서울신문에서 교육 상황, 교육 현실에 대해 진단하고 처방을 내려주는 기사를 좀 더 다뤘으면 한다. 현재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 교육이며, 이 양극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도 교육이기 때문이다.
2015-02-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