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식 문화가 있는 삶]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최광식 문화가 있는 삶]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입력 2016-05-29 22:44
수정 2016-05-29 22: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3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의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과 일본 주구지(中宮寺)의 목조반가사유상을 함께 전시하는 개막식이 열렸다. 6월 12일까지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6월 21일부터는 장소를 옮겨 일본의 도쿄국립박물관에서 3주일간 공동 전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최광식 고려대 교수
최광식 고려대 교수
이는 2015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통해 ‘가깝고도 먼 나라’로 인식되고 있는 한·일 양국 사람들의 간극을 보다 좁히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두 반가사유상의 형태나 제작 기법이 달라서 개막식에 참석한 관람객들은 유사성이 잘 엿보이지 않는다고들 하면서 왜 모습이 닮은 고류지(廣隆寺)의 목조반가사유상과 국립중앙박물관의 국보 제83호 금동반가사유상을 함께 전시하지 않았느냐고 궁금해했다.

반가사유상은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뺨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이다. 이런 자세의 불상은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생각에 잠긴 출가 전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 세계의 어느 반가사유상을 봐도 한결같이 고뇌에 찬 표정을 짓고 있지만 삼국시대 것은 살짝 미소까지 짓고 있다. 그런데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과 고류지 반가사유상은 미소까지 닮아 있다.

2013년 한·일 전시교류검토위원회가 구성돼 여러 차례 모임을 통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의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과 일본 고류지의 반가사유상을 함께 전시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공동 전시를 추진했다. 왜냐하면 두 반가사유상의 모습이 너무 흡사하며, 재질만 다르지 형태와 제작 기법이 같아 한국과 일본 고대 문화와 예술의 관련성을 상징하는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류지에서는 사찰 밖으로 반가사유상을 반출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외국 반출은 불가능하다 하여 난관에 부딪치게 됐다. 여러 차례 설득을 시도했으나 결국 불가능하게 돼 2015년 공동 전시는 이루어지지 못하게 됐다. 그러나 한·일 간의 우호증진을 위한 문화교류라는 취지를 살려 대안으로 주구지의 반가사유상과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을 공동 전시하자는 의견이 제시돼 주구지의 협조를 얻은 것이다.

사실 2015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이했지만 두 나라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할 만한 일들이 별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은 시정되고 있지 않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일본의 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걸핏하면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을 생각하면 과연 우리가 일본과 가깝게 지내려고 노력을 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 때도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인근 국가와 친선관계를 갖고, 시민사회의 연대를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두 나라 지식인들과 문화예술인들은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협력해 나가도록 공동 사업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이 조금이라도 시정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다소 진전이 이루어지며,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고 하는 정치적 망언도 점차 사라지고 한국과 일본이 보다 긴밀해져 ‘가깝고도 긴밀한 나라’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런 점에서 한·일 국교 정상화 55주년이나 60주년에는 반드시 한국의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 일본 고류지의 반가사유상이 공동으로 전시돼 한국과 일본의 관람객들이 이 두 불상을 보며 한국과 일본은 고대로부터 아주 가까운 나라라는 인식을 갖도록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해 본다.

그때는 지금과 같이 10m 떨어져 두 불상이 서로를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 아니라 두 반가사유상이 옆에 나란히 전시돼 관람객들이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렇게 되면 한국과 일본은 서로 떨어져 마주 보는 ‘가깝고도 먼 나라’가 아니라 바로 옆에 있는 동반자로서 ‘가깝고도 긴밀한 나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2016-05-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