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죽음의 계곡과 미래 기술

[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죽음의 계곡과 미래 기술

입력 2019-01-21 17:36
수정 2019-01-22 0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캘리포니아와 네바다주 사이의 데스밸리국립공원은 모하비 사막의 북쪽에 있다. 사막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80m 정도 낮고 평균기온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아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척박한 환경으로 이름 높다. 특히 여름에는 섭씨 58도까지 오르는 날도 있다. 모래바람 날리는 사막이지만 다른 행성 같은 풍광과 그 속에 아름답게 우뚝 선 전통 있는 호텔이 관광객의 발길을 끈다.
이미지 확대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데스밸리에서 네바다주 쪽으로 지평선을 향해 쭉 뻗은 도로를 달리다 보면 광막한 사막 속 오아시스를 방불케 하는 반짝이는 도시가 있다.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라스베이거스에 올 1월에도 세계인의 이목을 끄는 행사가 열렸다.

소비자가전전시회(CES)가 그것이다. 사막 속에서 만난 빛처럼 세계 여러 기업이 미래 기술의 빛을 밝히고 있었다.

CES를 주최한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는 2019년 CES 대표 5가지 기술 트렌드로 인공지능,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케어, e스포츠, 복원력을 갖춘 스마트 도시를 꼽았다. 접히는 디스플레이, 자율주행 자동차, 유인 드론 등 설레는 기술이 많이 전시되었지만,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는 CES의 핵심 분야로 자리잡은 듯했다.

피트니스, 헬스&웰니스, 수면 기술, 웨어러블 등 다수의 마켓 플레이스에 걸쳐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과 제품들이 선보였다. 정신질환, 만성질환, 약물 의존 등 건강 관련 이슈를 다룬 실용적인 제품을 많이 볼 수 있었고, ‘사람들의 인생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도 있는 기술’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 중 정보기술(IT)을 활용해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리를 돕는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았다. 웨어러블 기기의 센서로 얻을 수 있는 생체정보는 지금도 매우 다양하다. 피부에 부착한 센서로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생체 운동량, 체온, 위치정보, 소비 열량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생리대에 부착한 센서로 생리혈의 양, 온도, 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피지컬 미러(phygical mirror)는 신체이미지 패턴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나이를 가늠하고 심박수를 기록하며, 행동 패턴으로 현재 하는 작업이 무엇인지 읽고 예측한다. 이 정보들은 만성질환의 진단과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며, 기존에 관리하기 어려웠던 여성의 생리 건강 정보, 인간행동 분석과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병원과 진료기관에서는 수많은 환자의 진료 기록과 보험 등의 정보 관리에 이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관건은 이 정보들이 어떤 알고리즘을 통해 어떤 데이터로 재구성되고 활용되느냐에 달렸다. 이번 CES 전시 제품에는 생체 정보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하느냐에 대한 각 기업의 치열한 고민과 노력이 담겼다.

환락과 도박의 도시에서 만난 꿈꾸는 자들의 흐름. 죽음의 위협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 미래 기술은 이런 것이 아닐까.
2019-01-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