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성용 수출입은행 자카르타 사무소장
두 번째 경험은 2013년 경제제재 완화와 함께 세계 각국이 경쟁하듯 입국하던 시기에 미얀마에서 겪은 것이다. 업무를 마치고 짬을 내 들른 양곤의 전통시장에서 한 미얀마 신사가 필자에게 갑자기 ‘오빠’라고 부르는 것이 아닌가. 적잖게 당황한 필자에게 영어를 조금 할 줄 알았던 상점 주인은 요즘 미얀마 사람들은 대부분 한국 드라마를 보는데, 거기서 여자 주인공이 남자 주인공을 그렇게 불러서 한국 남자들을 보면 대부분 ‘오빠’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지난해 이맘때 한국에서 손님들이 자카르타를 방문해 자투리 시간에 독립기념탑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때마침 어느 중학교에서 견학을 왔는지 많은 학생들이 전망대에 함께 있었고 우리 일행은 빠듯한 다음 일정을 위해 학생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엘리베이터를 먼저 타려고 했다. 그때 우리를 유심히 보던 한 여학생이 한국에서 온 사람들과 사진을 좀 찍고 싶다는 것이다. 그러라고 했더니 20여명의 학생들이 순식간에 몰려나와 서로 사진을 찍으려고 경쟁 아닌 경쟁을 하는 것이 아닌가.
심지어 남학생들까지 필자에게 ‘저도 찍으면 안돼요?’라는 눈빛을 보내고 있었다. 완전히 한류스타급 대접을 받은 분들은 멋쩍은 표정을 지었지만, 기분이 나쁘지 않은 즐거움을 얼굴에서 엿볼 수 있었다. 사실 그 한국 사람들은 60대를 훌쩍 넘었는데 말이다.
마지막 기억은 얼마 전 현지 직원들과 노래방을 갔던 기억이다. 노래방에 들어가기 전 주인에게 한국 노래가 있는지 확인받고 들어갔는데, 웬걸, 한국 노래는 있는데 가사가 모두 인도네시아어로 표시돼 있는 게 아닌가. 띄어쓰기도 없이 알파벳으로 표시된 한국 노래는 정말이지 팝송보다 따라 부르기가 어려워 필자는 일찌감치 포기했다. 그런데 함께 간 현지인들은 정말이지 한 단어도 틀리지 않고 요즘 아이돌 가수들의 그 빠른 곡들을 완벽한 한국어 발음으로 부르는 게 아닌가? 나중에 물어보니 자기들은 가사를 아예 외워 버린 거란다. 이 정도 노력이면 못할 게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한류가 늘 이런 훈훈한 모습만 있는 건 아니다. 몇 년 전 방문했던 로스앤젤레스 공항에서 보안요원의 지시에 따라 정확히 줄 맞춰 조용히 탑승을 기다리던 한국 사람들이 자카르타를 포함해 프놈펜, 마닐라, 비엔티안 등 아시아 지역의 공항에서는 보안요원뿐 아니라 출입국 관리 직원들에게까지 큰소리를 치거나 나 혼자 먼저 가겠다고 은밀하게 돈을 주는 경우도 보았다. 아마도 그런 한국 사람을 경험한 현지인들은 한국에 대해 나쁜 이미지만 갖는 것이 아니라 다음에도 한국 사람에게는 이런 식의 대접을 통해 검은돈을 받을 수도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것 같았다.
우리가 흔히 유명한 연예인들의 전유물이라고 느꼈던 한류는 사실 대한민국 국민인 우리 자신들에게 쏟아지는 그들의 관심이라고 생각한다. 즉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해외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한류가 더 발전할 수 있을지, 아니면 실망으로 되돌아올지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15-05-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