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명당자리/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명당자리/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3-11 20:38
수정 2016-03-11 2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퇴근 길에 타는 광역급행버스는 크게 불만이 없을 만큼 쾌적하다. M버스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이 교통수단은 입석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 시간 가까이 타고 있어야 하니 옆자리에 누가 앉는지가 중요하다.

웬만하면 체구가 작은 여성 옆에 앉으려 한다. 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비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니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 우등고속버스가 아니라면 비슷한 체구의 남자 둘이 끼어 앉으면 편안할 수 없다. 봄이 오다가 겨울로 돌아가 옷을 껴입어야 하는 어제오늘 같은 날씨엔 특히 더 그렇다.

그래서 그런지 슬림한 여성을 버스 파트너로 선호하는 사람이 나뿐만은 아닌 것 같다. 알고 보면 옆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무신경’을 넘어선 ‘안하무인’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많다.

최근에는 나와 비슷한 ‘뚱뚱한 중늙은이’들이 비교적 버스 파트너에 대한 배려가 깊다는 것을 경험으로 깨닫고 있다. 처음 옆자리에 끼어 앉을 때는 ‘이거 편치 않게 됐군’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불편을 느끼지 못할 때가 많다. 처지가 비슷하니 옆 사람을 배려해야 한다는 생각도 비슷한 것일까. 날씬한 사람 옆자리만 명당은 아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3-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