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매미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매미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8-16 19:56
수정 2020-08-17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름 초입 매미 소리가 귓가를 맴돌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말복이 지났다. 빗줄기가 그치면 가끔 나서는 아파트 산책길 곳곳에서 매미의 잔해가 눈에 띈다. 방충망에서 시끄럽게 아침잠을 설치게 했던 악동(?)들이지만 생의 여행을 끝내고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간 그들의 여정이 그저 안쓰럽다. 매미는 대략 7년 이상 애벌레로 땅속에 있다가 세상 밖에서 보내는 시간은 고작 일주일, 길어야 한 달 안팎이라 한다. 매미의 울음소리는 짧은 이생에서 암컷을 향한 수컷의 절박한 구애다. 소리가 클수록 짝짓기 성공률이 높다고 하니 목숨을 건 절규나 다름없다.

이런 매미들에 옛 선비들은 5덕 곤충(蟬五德)이란 근사한 별명을 붙였다. 중국 진나라 시인 육운은 한선부(寒蟬簿)에서 문(文), 청(淸), 염(廉), 검(儉), 신(信)으로 명명했다. 입이 두 줄로 뻗은 것은 선비의 갓끈을 의미하는 학문이고 평생을 깨끗한 수액만 먹고 살아 맑음이 있고 곡식과 채소를 해치지 않고 염치가 있으며 집을 짓지 않고 살아 검소함이 기특하다고 칭송했다. 늦여름의 끝자락에 서 있다. 조만간 찬바람과 함께 가을의 문턱이 보이면 매미의 울음소리도 자취를 감출 것이다. 1년을 기다려야 한다니 매미 소리가 더욱 가슴에 와닿는 듯하다.

oilman@seoul.co.kr

2020-08-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