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청년 밤 장수/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청년 밤 장수/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1-15 19:52
수정 2020-11-16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남 금산과 전북 완주에 걸쳐 있는 대둔산을 다녀왔다. 케이블카 타고 내려오니 이미 어둠이 짙게 내려앉아 있었다. 길 한켠에 죽 늘어섰던 할머니 노점들은 이미 철시한 뒤라 아내는 “미리 단감 사놓을 걸 그랬다”고 후회했다.

누군가 플라스틱 바구니를 연신 들까불며 휴대전화 불빛을 비치고 있었다. 이 시간에도 저러고 있나 싶었다. 바구니에 담긴 건 햇밤이었다. 그는 20대 중후반의 청년이었다. “저희 농장에서 직접 수확한 건데 정말 맛있습니다. 좋지 않은 물건은 절대 안 팝니다.” 말하면서도 연신 휴대전화로 밤에 썩은 데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쭈뼛거리지 않고 당당하게 호객하는 점도 믿음직했다.

만원어치를 샀는데 아내는 “젊은이에게 이것저것 물어봐 놓고 그냥 돌아서기가 그렇더라”고 했다. 왜 아니겠는가? 몇 년 전 속리산 법주사 갔다가 할머니들이 추운 날씨에 힘들어하는 것 같아 과일을 산 일이 있었다. 그런데 연꽃 구경하고 돌아오니 트럭에 모든 할머니들의 짐이 실리고 있었다. 할머니들은 그저 상인이었다. 씁쓸했던 일이었다.

집에서 밤을 삶아 먹는데 평가가 갈렸다. 매사 세상을 더 냉정하게 바라보는 아내는 “또 속은 것 같다”고 했다. 난 짐짓 “청년의 의지만 높이 사자”고 했다.

2020-11-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