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애물단지 TV/김성수 논설위원

[길섶에서] 애물단지 TV/김성수 논설위원

김성수 기자
입력 2022-05-22 20:34
수정 2022-05-23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TV가 애물단지가 된 지 꽤 됐다. 마루에 달랑 한 대 있는데 보는 사람이 없다. 4년 전 집을 수리하면서 왜 47인치나 되는 대형 TV를 덜컥 샀는지 후회막급이다. 가뜩이나 좁은 집에 공간만 많이 차지한다. 볼수록 답답하다. 그나마 딸애가 몇 년 전까지는 국가대표 A매치 축구경기가 있는 날 TV를 켰다. 좋아하는 선수가 있어서 꼭 대형 TV 화면으로 경기를 봤다. 그것도 1년에 잘해야 한두 번, 요즘엔 그마저도 시들해진 모양이다. 아예 TV를 안 켠다. 작동은 되는지조차 의심스럽다.

TV 대신 가족들은 다 휴대전화를 본다. 프로야구 경기도, 예능 프로그램도 휴대전화로 보는 게 더 편하다. 이어폰을 끼고 보면 더 몰입할 수 있다. TV는 무용지물로 전락했다. 그런데도 KBS는 시청료(TV수신료)를 전기요금에 붙여 따박따박 걷어 간다. 월 2500원인데 심지어 3800원으로 더 올리려고 한다. TV를 보든 안 보든 수상기가 있으면 무조건 내야 한다. 이상한 법이다. 이참에 아예 TV를 없애 버릴까.

2022-05-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