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의 체인 식당인 맥도날드가 중국 회사 이름을 ‘마이당라오’(麦当劳)에서 ‘진궁먼’(金拱門)으로 바꿨지만 중국인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5일 중국 국유기업 중신그룹이 미국 사모펀드 칼라일그룹과 합작 운영을 시작한 뒤 사업 확장 필요때문에 지난 12일부터 회사 명칭을 맥도날드 상징 로고인 금색 아치란 뜻의 ‘진궁먼’으로 변경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맥도날드는 현재 2740개의 식당을 2022년까지 45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맥도날드 마스코트인 광대가 진궁먼으로 이름이 바뀐 회사에선 일을 못하겠다고 상사에게 전화하는 내용의 합성 사진. 출처:Imgur.com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맥도날드 마스코트인 광대가 진궁먼으로 이름이 바뀐 회사에선 일을 못하겠다고 상사에게 전화하는 내용의 합성 사진. 출처:Imgur.com
회사 이름만 바뀌었을 뿐 식당에서는 기존 이름 ‘마이당라오’를 그대로 사용한다. 중국에서 맥도날드는 KFC와의 경쟁에서도 처지는 데다 토종 브랜드 더커스(德剋士)와 배달음식의 성장세에 밀리고 있다. 중국 패스트푸드 시장 1위는 KFC로 점유율 5%며, 맥도날드는 2,4%, 더커스는 1.3%로 3위다. 특히 올해 KFC와 맥도날드가 전년 대비 0.1% 성장한 데 비해 더커스는 0.5%의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 1990년 광둥성 선전(深?)에 1호점을 연 맥도날드는 1992년 베이징에 상륙했고, 그동안 중국인들에게 미국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지난해만 1억 2200만명이 해외여행을 할 정도로 세련되어진 중국인들은 이제 해외 문화를 느끼고 싶으면 직접 외국으로 떠나고 있다.
게다가 싸구려 브랜드란 이미지도 이름 갈아타기에 한몫했다. 중국 맥도날드는 아침메뉴의 25%를 죽과 두유 등 중국식으로 바꿨지만, 새 이름은 중국인들의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가구를 파는 가게 이름 같다는 평가에다 아치를 뜻하는 ‘궁’(拱)자가 먹을 것을 찾는 돼지코를 연상시킨다는 반응이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